‘특혜설’ ‘빅딜설’ 이어 ‘돈 선거’ 진흙탕 싸움
새누리당 서울시장 예비후보로 나선 김황식 전 총리가 함께 서울시장 예비 후보로 나선 같은당 정몽준 의원을 겨냥해 100억 광고비 지출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유력 후보들 사이 ‘특혜설’, ‘빅딜설’로 치고받은 데 이어 급기야 ‘돈 선거’ 논란까지 일으키며 경선이 진흙탕 싸움으로 변질되고 있는 양상이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김황식 전 국무총리 측은 정몽준 의원이 최대주주인 현대중공업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100억 원가량의 광고비를 언론사에 집중 지출한 의혹을 제기했다.
광고 집행이 갑자기 늘어난 것이 정 의원에 대한 우호적 여론 조성 목적이라는 것이다. 김 전 총리 측은 당 클린선거감시단의 조사도 요구했다.
이에 정 의원 캠프 박호진 대변인은 30일 “김 후보 뒤에는 인척 관계에 있는 대기업 오너가 있고, 이 인사가 재정지원을 하고 있다는 의혹이 있다”고 받아쳤다.
양측 공방이 위험수위로 치닫자 황우여 대표는 이날 당사에서 긴급 회견을 열고 “최근 공천관리위가 경선 룰을 정함에 있어 일부 오해와 갈등이 있었던 점에 대해 당 대표로서 심심한 유감의 뜻을 정중히 표한다”며 수습에 나섰다.
황 대표가 ‘유감’을 표명하자 김 전 총리는 이날 오후 ‘경선 복귀’를 선언했다. 앞서 김 전 총리는 지난 27일부터 경선 불공정 문제를 제기하며 칩거에 들어갔다.
김 전 총리는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새누리당 승리를 위해 경선 참여를 후회하지 않기로 했다”며 경선 복귀 이유를 밝혔다.
이처럼 서울시장 경선이 네거티브전으로 치닫자 일각에선 당초 기대한 ‘흥행 대박’이 어려운거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앞서 경선 초반에는 김 전 총리 귀국 시점에 맞춘 후보 공천 신청 마감 연장, 경선 후보 2배수 컷오프 검토를 놓고 ‘김황식 특혜설’이 제기됐다. 또 김 전 총리 측은 이혜훈 최고위원 주소지가 서울 반포동에서 정 의원 지역구인 동작구 사당동으로 이전된 것을 놓고 이른바 ‘빅딜’ 의혹을 던지며 맞대응했다.
여기에 새로 불거진 ‘돈 선거’ 논란은 선거판 전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김 전 총리 복귀로 일단 잠복한 갈등은 언제든 다시 폭발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