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측근 특사 못막으면 국민 저항속 출범할 것”
민주통합당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MB의 비리 친인척‧측근 사면에 반대한다는 보도와 관련 11일 “형님 사면 반대는 잘한 결정이다”고 쐐기를 박았다.
김현 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 브리핑에서 “임기 마감을 목전에 둔 현직 대통령이 법치를 무너뜨리려 한다면 이를 바로 세워야하고, 그 책임은 차기정부를 이끌 박근혜 당선인에게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변인은 “박근혜 당선인은 누구보다 법치와 원칙을 강조해왔고, 이제야 자신이 바라고 바래왔던 기회가 왔다는 점에서도 좌고우면하지 말길 부탁드린다”고 촉구했다.
특히 MB 친형 이상득 전 의원의 24일 선고 공판을 지적하며 김 대변인은 “대한민국의 법치가 무너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박 당선인은 측근들을 통해서 밝힌 바대로 특별사면이 이뤄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위원장 이강택)도 10일 성명을 내고 “언론장악 주범에 대한 특별사면을 막고 해직·징계자의 원상 복귀에 나서라”라며 “그렇지 않으면 박근혜 정권은 국민적 저항 속에서 출범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강력 촉구했다.
언론노조는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신재민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등이 특별사면 대상자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며 최 전 위원장은 “무소불위 권력을 휘두르며 방송의 공공성과 언론 자유를 말살한 주범”으로 “방송사 파업을 유발하고, 조선·중앙·동아에는 종편이라는 특혜를 안겨주며 언론을 권력의 통제 수단으로 전락시켰다”고 맹비난했다.
또 언론노조는 신 전 차관은 “실세로 군림하면서 언론장악의 선봉장을 자임했다”며 “정연주 KBS 사장 해임과 관련해 “대통령에게 KBS 사장 해임권이 있다”고 말하는가 하면, 박래부 전 언론재단 이사장에게도 “자리를 비워 달라”며 사퇴를 종용했던 인물이다”고 행적을 지적했다.
이어 언론노조는 박 당선인을 향해 “대통령 취임 전이라는 이유로 특별사면을 묵과하는 것은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라며 “최시중, 신재민의 특별사면을 묵인하는 것은 이명박 정권의 언론정책을 그대로 계승하겠다는 것에 다름 아니다”고 경고했다.
또 “1만 5천 언론노동자를 적으로 돌리는 것”이라며 특별사면을 막고 450여명의 해직·징계 언론노동자를 원상 복귀시키라고 박 당선인에게 요구했다.
한편 <한겨레>는 이날 1면 <“박 당선인, ‘MB 형님사면’에 반대 뜻”>이란 기사에서 박 당선인은 이명박 대통령의 임기말 친인척·측근 사면 움직임에 부정적인 의견이라고 10일 여권의 핵심 인사가 밝혔다고 보도했다.
박 당선인과 가까운 핵심 인사는 “박 당선인은 이명박 대통령이 절대 자신의 형인 이상득 전 의원 등을 사면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이상득 전 의원을 특사로 사면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에 형량이 최종 확정돼야 하고, 이 대통령이 사면을 실제 추진할 경우 국민적 반발이 거세질 수밖에 없는 만큼 이를 강행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