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퇴임 1년 만에 ‘기념재단’ 설립 추진

녹생성장 위주 사업 전개 계획.. 네티즌 “기념할게 뭐가 있다고”

ⓒ '청와대'
ⓒ '청와대'

이명박 전 대통령이 퇴임한 지 1년 만에 기념재단 설립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5일 <세계일보>에 따르면, 이 재단의 명칭은 ‘이명박 대통령 기념재단’으로 정했고, 이재후 김앤장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가 이사장을 맡는다.

MB정부에서 장관,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을 지낸 50여명은 2일 서울의 한 식당에서 이 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재단 발기인 모임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김경한·이귀남·권재진 전 법무부 장관, 박재완 전 기획재정·정운천 전 농림수산식품 장관, 류우익·정정길 전 대통령실장 등이 참석했다.

이달곤 전 행정안전부장관은 <세계>에 “여러 전직 대통령이 불운한 등 부끄러운 일이 많지 않았느냐”며 “과거와 다른 전직 대통령 문화를 도모하기 위해 일단 발기인모임을 조용하면서 신중히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다른 전직 장관은 향후 기념사업과 관련해 “MB정부에서 중점과제로 추진했던 녹색성장 위주로 기념사업을 할 계획인 것으로 안다”며 “6월 지방선거 후 본격 추진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민간단체 등이 전직 대통령을 위한 기념사업을 추진하는 경우에는 관계법령에 따라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는 전직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직 대통령이 기념사업회를 설립하면 정부는 국고를 지원한다.

안전행정부 한 관계자는 <세계> “재단 부담금(후원금)과 사업계획서를 함께 제출하면 타당성을 포함해 내용을 검토한 뒤 승인해 준다”며 “기재부와 협의를 거쳐 예산을 책정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 예산 지원 규모는 기념사업회의 기념관 건립 계획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다”며 “기념관을 건립하면 재단 부담금과 국고의 비율이 7대 3이며 기념사업 추진 전 기념관이 있으면 5대 5”라고 말했다.

정부 예산을 받아 기념사업회를 하는 전직 대통령은 박정희,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이다. 안행부에 따르면 박정희 대통령 기념재단의 예산은 국고 208억원을 포함해 708억원, 김영삼 민주센터는 국고 75억원 등 265억원이다. 김대중 기념사업회는 158억원(국고 75억원)이다.

김 전 대통령은 연세대에 기증한 아태평화재단 건물이 김대중도서관으로 명칭이 바뀌어 다른 전직과 다르게 예산을 지원받았다. 사람사는 세상 노무현재단은 국고 165억원 등 550억원이다.

해당 소식이 전해지자 SNS 등에서는 조롱과 비판 글들이 잇따라 게시됐다. 한 네티즌(kore****)은 “참.. 빠르네. 임기 때 국민 쪽쪽 빨아먹으셨으니 이제는 국민에게 가져갔던거 뱉어내시죠?”라고 꼬집었고, 또 다른 네티즌(joja****)은 “뭘 기념하나요? 전 국민을 욕쟁이로 만든거? 사대강을 녹조라떼로 만든거? 세금으로 자기 부동산 개발한 거? 공기업부채를 무한증식한거?”라고 분노했다.

이 밖에도 “곧 여름 녹조라떼가 다가옵니다. 멀쩡하던 강 뒤집어엎고 비리저질러서 돈 빼돌리고 좀 살만하십니까”(clym****), “기념할 게 뭐가 있다고ㅋㅋ 전두환과 함께 수치스러운 대통령 1,2위”(jong****), “어이가 없어서 말도 안나오네. 대체 뭘 기념한다는거지?”(terr****), “쓸데없는 것 만들어서 국민혈세 낭비 말라!”(wang****), “국민혈세 4대강에 다 퍼붓고 지금 국민들은 피까지 빨리고 있는데 뭐 잘했다고”(mm74****) 등의 반응들을 보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