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이산가족 상봉 제안 ‘묵묵부답’

사흘째 침묵.. 2월 이산상봉 불투명 우려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자는 우리 측 제안에 사흘 째 답변을 주지 않고 있어 설 연휴 실향민들의 시름이 깊어가고 있다. 이산가족 상봉 여부마저 불안한 상황이다.

<한겨레>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지난 27일 북한에 다음달 17~22일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북한은 사흘째 답변을 주지 않고 있다. 북한은 29일 오후 4시 판문점 남북 연락관 채널 마감 통화에서도 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관련해 별다른 언급이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이산가족 상봉을 전격 수용하면서 보인 적극적인 태도와는 크게 달라진 것이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30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는 설 연휴로 판문점 연락관 채널이 가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연휴 기간이라도 북한이 연락관 채널이나 방송 등을 통해 답변을 내놓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전날에 이어 북한에 또다시 유감을 표시하며 조속한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정부는 29일 오전 대한적십자사 총재 명의로 보낸 전화통지문을 통해 “북측이 우리의 설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 제안을 수용하고도 상봉행사 준비에 불분명하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유감”이라 밝히고 “만남을 애타게 기다리는 이산가족들의 염원을 고려해 북측이 우리측 요구에 조속히 호응해 나오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 'MBC'
ⓒ 'MBC'

하지만 정부는 난감한 입장이다. 북한이 남한의 제안을 거절하지도 수용하지도 않은 상황이어서, 정부도 마땅한 대응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현재로서는 기다리는 것밖에 방법이 없다. 우리가 상봉 날짜로 제안한 2월17일까지 조금 여유가 있는 만큼 기다려볼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이런 태도는 24일 이후 남북간 발생한 일들이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 28일 국군이 백령도·연평도 등 서해지구에서 진행한 해상 사격훈련이 북한의 판단에 영향을 미친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북한은 지난 16일 자신들이 발표한 ‘중대 제안’에서 “(자신들이) 서해상에서의 군사행위 중단을 먼저 실천하겠다”고 밝혔음에도 우리 측이 사격훈련을 강행했기 때문이다.

북한은 훈련 하루 전 “엄중한 후과가 초래될 것”이라며 사격훈련 중단을 요청했지만, 정부는 “정례적으로 실시하는 정당한 훈련”이라며 계획대로 진행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도 29일 우리 정부에 군사적 적대행위 중단을 촉구하는 기사를 실었다.

신문은 이날 5면 ‘군사적 적대행위는 북남관계 개선의 장애’라는 제목의 글에서 “북남관계를 개선하는 데서는 대화나 분위기 조성도 필요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그것을 가로막는 기본 장애물인 군사적 적대행위를 끝장내는 것”이라며 “주적으로 대하면서 군사적 적대행위를 일삼는다면 조선반도(한반도)의 긴장한 정세를 완화시킬 수 없고 불신과 대결을 해소할 수도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북한 최고지도자인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직접 남북관계 개선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전면 중단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창수 코리아연구원 연구실장은 “북한의 침묵은 어제 남한의 군사훈련에 대한 불만 탓이거나 우리가 알 수 없는 실무적인 문제 탓일 수 있다. 이유가 무엇이든 북한은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다시 제안을 해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