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野 “朴 죽음의 행진 막으라, 법 개정 나서야”
대선 직후 4명의 노동자가 ‘절망적인 현실’을 견디다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노동자들의 잇단 자살 소식에 민주통합당 의원들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각각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당선인에 “국민대통합 차원에서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26일 민주통합당 소속 ‘진보행동모임’ 은수미, 김현미, 한정애, 배재정, 김기준, 진선미, 유은혜 의원 등 9명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 당선인에게 노동자들의 잇단 자살과 관련해 “죽음의 행진을 막아 달라”고 호소했다.
이들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국가 최고지도자의 위상과 역할을 다하기 위해 죽음의 행진을 막을 막중한 책임이 있다”면서 “무엇보다 지난 새누리당 이명박 정부 아래에서 자행된 부당해고, 노조파괴, 용역침탈 및 공권력 남용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절망 속에서 목숨을 끊은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한편 민주당과 노동조합, 시민단체가 요구하는 관련 법 개정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대선기간 새누리당이 약속한 쌍용자동차 국정조사와 실질적인 비정규직 대책을 조속한 시일에 여야 합의로 실행에 옮기는 것이 박근혜 당선자가 밝힌 국민대통합의 수순”이라고 촉구했다.
한편, 같은 날 민주노총을 비롯한 진보민중진영도 노동자들의 잇단 자살과 관련, 비상시국회의를 개최했다. 이들은 향후 비상시국회의를 확대해 비정규직, 정리해고, 노조탄압 문제 해결을 위한 투쟁계획을 결정할 예정이다.
비상시국회의 참가자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노동자들의 잇단 자살은 “이명박 정권 5년 내내 자행된 정리해고와 비정규직 양산, 그리고 민주노조에 대한 악랄한 탄압의 결과”라면서 “박근혜 당선자는 자신이 통치기간에 발생한 일이 아니라고 나 몰라라 해서는 안 된다. 진정 대통합을 말하려면 노동현안 해결부터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날 비상시국회의에 참여 한 노동계와 진보민중 단체, 종교계는 노동자들의 ‘절망 자살’을 막기 위해 힘을 모을 것을 결의했다.
이들은 26일 저녁 대한문 촛불집회를 시작으로 매주 토요일 촛불집회를 이어갈 것으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는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