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영 변호사 비용 댄 ‘7452부대’가 국정원?
지난 국감에서 불법 대선 개입 의혹이 제기된 국가보훈처의 안보 DVD 교재 일부가 국가정보원 자료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최근 국정원 여직원 김하영 씨의 변호사 비용을 댄 ‘7452부대’가 국정원임을 확인해주는 단서도 공개됐다.
<시사인>은 국가정보원이 제작 의뢰해 납품받은 보훈 관련 동영상과 세금계산서 등 관련 자료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동영상과 대선 개입 의혹을 불러일으킨 국가보훈처의 호국보훈교육 DVD의 상당부분 장면이 일치했고 일부 동영상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장면이 똑같았다고 보도했다.
이 동영상 제작에 관여한 한 관계자는 <시사인>에 “국정원으로부터 제작 의뢰를 받았고, 동영상을 납품했다. 납품하고 세금 계산서를 받아보니 명의가 7452부대였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정보원의 동영상은 2011년 전후 제작된 것으로 북한의 실상을 보여주며 탈북자의 고난, 김정일․김정은 부자의 사치스러움, 굶주리는 북한 주민 등이 담겨있다. 이 동영상은 국정원을 통해 안보 동영상이라는 이름으로 전국의 학교에 배포됐다.
국정원으로부터 안보 관련 동영상 의뢰를 받아 납품한 이 관계자는 “김정은 주택 위성사진이나 기쁨조 동영상은 외부에서 구할 수가 없어 국정원에서 제공받았다”며 “국정원도 이런저런 것은 꼭 들어가야할 장면이라며 동영상 자료를 제공했다”라고 말했다.
보통 국정원은 안보 관련 동영상을 외주를 주고 납품을 받아왔는데 그 과정에서 관련 업체에 보안각서를 받았다. 제작 후에는 국정원이 제공한 동영상 뿐 아니라 작업한 컴퓨터 하드디스크 자체를 가져간다.
국정원으로부터 동영상 의뢰를 받은 또 다른 관계자는 “보안각서를 쓰고 작업이 끝나면 하드디스크를 국정원에 보내야 입금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이때도 입금자 명의는 7452부대였다.
이 같은 의혹에 국정원 관계자는 “국가보훈처 DVD를 확인해봤는데, 국정원이 제작한 것은 아니다. 7452부대는 우리 공식 명의가 아니다”라고 <시사인>에 해명했다.
보훈처 관계자도 “10월 국감에서 보훈처장이 답변한 것 이외에 더 해명할 것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7452부대’와 ‘5163 부대’는 국정원 위장업체일 가능성이 높다고 <시사인>은 분석했다. 5163부대는 국정원 직원들이 은행 대출을 받을 때 내는 재직증명서에 쓰이는 이름으로,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군무원인줄 알고 받아보면, 주소가 국정원과 똑같은 내곡동이었다”라고 말했다.
이들 위장부대 이름은 둘 다 박정희 전 대통령과 관련이 깊다. 5163부대는 5․16 쿠데타 때 박정희 소장이 새벽 3시에 한강철교를 넘었다는 데서 숫자만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 북파공작원도 한때 중앙정보부 5163부대 소속이었다.
또한 7452부대는 1972년의 7․4 남북공동성명과 관련이 있다. 당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 협상을 위해 판문점을 거쳐 평양에 간 날이 바로 5월2일인 데서 숫자만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