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국정원-軍 커넥션?.. 조직적 불법 대선개입 반증”
국가정보원이 지난해 대선 때 정치적 댓글을 작성해 선거개입 혐의로 기소된 ‘국정원 여직원’ 김하영 씨의 변호사 비용 수천만원을 예산에서 지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개인적 일탈 행위’라는 남재준 국정원장의 주장과는 배치되는 것이어서 국정원의 조직적 대선 개입 의혹이 커지고 있다.
<한겨레>등에 따르면, 국정원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모두 세 차례에 걸쳐 ‘7542부대’라는 이름으로 3300만원을 입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원 관계자는 김씨의 변호사 비용을 국정원이 댔다는 의혹에 대해 “예산으로 지원한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 의혹을 처음 보도한 <JTBC>는 김씨의 변호인이 “회사(국정원) 명칭을 숨기기 위해 7452부대라는 이름을 쓴 것으로 안다. 처음엔 문제가 안 된다고 생각해 국정원 예산을 댄 것 같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4일 남재준 원장은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에 대해 “대북심리전은 기본 임무이지만 심리전 활동에 대한 정확한 지침이 없어 일부 일탈이 있었다”고 의혹에 대해 사실상 인정 했지만 일부 개인의 ‘일탈’로 규정했다. 국정원 차원의 조직적인 대선 개입에 대해서는 선을 그은 것이다.
그러나 일탈 행위를 한 직원에게 징계나 처벌 대신 변호사 비용을 지원한 것이 드러나 댓글 활동이 조직 차원에서 이뤄졌다는 의혹을 더 키우게 됐다.
이에 대해 국정원 관계자는 “당시 김씨가 돈이 없어 우선 국정원 예산으로 지원하고, 지난 9월11일 국정원 직원들의 모금으로 모두 갚았다. 현재는 지원한 예산이 없다”고 말했다고 <한겨레>는 보도했다.
이 같은 보도에 이재명 성남시장은 자신의 트위터에 “법을 어겨 가며 댓글로 국가안보를 지키셨으니 변호사비도 국가가 내 드려야겠죠?”라는 글을 게시했고, 이준길 미국변호사는 “정부가 범죄인 변호사비 내는 건 불법”이라고 비난했다.
한겨레 허재현 기자는 이 같은 소식을 전하며 “장진수 총리실 주무관 기억나시죠? 공무원이 일탈행위하면 징계해고 되는데 국정원은 변호사비용 대주며 격려합니다”라고 꼬집었다.
네티즌들의 비난도 이어졌다. 한 네티즌(스카*)은 “친절한 (국)정원씨 국정원 직원 개인의 일탈이라며 댓글여직원 변호비용까지 지급..이로써 국정원의 선거개입이 조직적임이 드러났다. 근데 그 비용이 내 세금, 피 같은 그래서 혈세라고 부르는...더 분노스러운 건 공중파는 말이 없다, 오늘도 침묵으로 일관 하고 있다”라고 개탄했다.
또 다른 네티즌 ‘태민**’는 “개인의 비리로 일삼던 국정원이 범죄행위자의 변호사비를 수천만원을 대납했다는 게 말이 되는가!! 범죄를 저지른 자를 문책을 해도 부족할 판에 수천만원의 국민세금을 범죄자 옹호에 사용한걸 보더라도 이는 명백히 국정원이 대선 부정선거에 깊숙이 개입했다는 반증이 아니고 무엇이더냐!!”라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이석기가 전쟁 때 우리 뒤통수를 까려 한 게 반역이라고 치자.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며 선거에 개입하고 그 혐의자에게 변호사비까지 대는 건 우리 앞통수를 까는 게 아닌가. 무엇이 더 큰 반역인가”(san*****), “변호사비용에 정부예산을 사용했다는 건 조직적으로 대선에 개입했다는 움직일 수 없는 증거! 그걸 돌려받았다 할지라도!!!”(ban***), “부정선거 사범이 아직도 국민혈세로 월급 받는 국정원 직원인데 3천만원이 넘는 변호사비용도 국정원 예산으로 지급한 것은 조직적 범죄임의 증거임!”(seo****),
“7452부대 구글링하면 기무사...!! 그런데 왜 국정원 김하영이 변호사비를 대? 국정원, 기무사, 사이버사령부의 연결고리가 좀 더 명확해지는 느낌이죠. 경찰, 검찰보다 기자가 더 수사를 잘한다”(lhj6*******), “국정원 좋은 회사네. 지들 말로는 업무시간에 댓글이나 달고 그랬는데 징계는커녕 변호사비까지 대주고. 국정원이 이정도 밖에 못해?”(jsse***), “오늘 jtbc특종 보도를 보니 국정원 여직원 변호사비용을 7452부대가 내줬는데...국정원과 군의 조직적인 커넥션이 있었던 게냐??? 이젠 횃불만이 답입니다!!!”(ahnd*****)라는 등의 반응들이 올라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