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韓 정치권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 공방 격화”

“지난 대선 불공정” 문재인 의원 발언 상세 보도

해외 언론들이 한국의 국가정보원 등의 대선개입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며 연일 소식을 타전하고 있는 가운데 월스트리트 저널 아시아판(WSJ)도 군 사이버사령부의 대선 댓글 의혹과 최근 한국의 정치상황에 대해 보도했다.

WSJ은 24일(현지시간) “한국 정치권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 공방 격화”라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국방부 압수수색과 사이버사령부 요원들의 대선 댓글 개입 시인, 윤석열 전 특별수사팀장의 국회 증언, 그리고 문재인 민주당 의원의 발언 등을 상세히 전했다.

기사는 “10개월 전 실시된 대선이 과연 공정한 선거였느냐를 놓고 여야가 치열한 공방을 벌이면서 한국 정치권의 긴장이 고조됐다”면서 “문재인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승리의 정당성에 처음으로 직접적으로 의문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WSJ 아시아판 기사원문 보러가기) (☞ WSJ 한국어판 보러가기)

ⓒ WSJ 아시아판 캡처
ⓒ WSJ 아시아판 캡처

해당 기사는 “문 의원이 23일 민주당에서 발표한 성명과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글을 통해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만으로도 지난 대선은 불공정했다’고 주장했다”며 이어 박근혜 대통령은 국정원 사건에 대해 “자신은 모르는 일”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고 덧붙였다.

기사는 이어 “미리 알았든 몰랐든 박근혜 대통령은 그 수혜자다. 박 대통령은 자신은 모르는 일이라고 주장하면서 진실을 은폐하지 말고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 박 대통령은 지난 대선의 불공정성과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해 무거운 책임을 져야한다”는 문 의원의 발언내용을 구체적으로 보도했다.

WSJ은 군 사이버사령부 대선개입 의혹과 관련 최소 4명이 대선 기간 중에 정치적 성향의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는 국방부 발표 내용을 전하며 “이는 국가기관의 정치적 활동을 금하는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기사는 또 “국가정보원 직원들이 박 대통령의 정치적 라이벌들에 비판적인 글을 올렸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국정원도 포화에 휩싸였다”면서 “국정원 비판 진영은 국정원이 일각에서 흑색선전이라고 주장하는 활동을 통해 박 대통령의 경쟁 후보들은 북한에 동조하는 인물들로 묘사했다고 주장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영구 평화협정이 아닌 휴전협정에 따라 한국전쟁이 중단된) 남북은 엄밀히 말해 여전히 전시상태에 있기 때문에 친북 성향의 대선 후보들은 유권자들의 눈 밖에 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WSJ은 기사 말미에 “박 대통령을 비판하는 진영은 국정원의 정치개입 의혹에 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국정원을 개혁할 것을 박 대통령에게 촉구했다”면서 “그러나 박 대통령은 올해 2월 취임한 이후 개혁 의지를 공표한 바 없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