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P “韓 대선스캔들 박근혜를 위협하다”

“朴 필사적 부인.. 정부 압력 최근 檢 불화로 재확인”

뉴욕타임즈를 비롯한 전세계 외신들이 한국의 대선스캔들을 심각한 상황으로 받아들이며 연이어 기사를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세계 3대 통신사 중 하나인 AFP가 “(대선개입 사건이)박근혜 정부에 치명적인 화상을 입힐 수도 있는 거대한 스캔들로 무섭게 끓어오를 조짐이 보인다”고 보도했다.

AFP는 23일(현지시간) <한국 대선개입 스캔들이 박근혜를 위협하다-S. Korea election meddling scandal threatens Park>라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검찰의 수사가 일부 국정원 요원들에 대한 수사에서 이제는 대통령 선거 당시 야당 대선후보에 대해 조직적으로 기획된 인터넷 비방 작전으로 의심되는 보다 광범위한 수사로 진행됐다며 이같이 타전했다. (☞ AFP 기사원문 보러가기)

AFP는 “근소한 차이로 선거에서 승리한 박근혜는 자기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일이라고 필사적으로 부인해왔다”면서 “하지만 정부가 이 선거개입 스캔들에 대한 수사에 압력을 행사하려 했다는 혐의가 최근에 검찰청에서 불거진 불화로 인해 재확인 되었다”고 전했다.

또 윤석열 전 특별수사팀장의 업무 배제 소식을 전하며 “윤석열 검사는 수사를 대충하라는 압력을 받았었다고 월요일 국정감사에서 증언했다”며 “윤 검사가 규정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지만, 진짜 이유는 그의 조사에서 밝혀진 진척사항들 때문”이라는 윤 전 팀장의 말을 전했다.

ⓒ 야후닷컴에 게재된 AFP 해당 기사 캡처
ⓒ 야후닷컴에 게재된 AFP 해당 기사 캡처

이 기사는 이어 윤 전 팀장의 “우리는 이 사건을 전례 없는 중대한 범죄로 보았다”는 발언을 소개하며 수사팀에 압력을 넣은 사람 중에 법무부장관 황교안이 포함되어 있는지 질문 받자 윤 전 팀장이 “그렇다고 생각한다”고 증언한 내용도 함께 전했다.

해당기사는 아울러 “유권자의 대부분이 군사독재를 경험했던 정도의 나이가 든 나라이니만큼 민주적 절차에 국가가 개입했다는 어떤 암시도 극히 민감한 사안”이라면서 이에 “야당은 지난 주말 15,000명이 참석한 촛불시위를 비롯해 수많은 국정원 규탄 시위를 벌여왔다”고 소개했다.

기사 말미에는 “보수신문조차도 국정원에 대한 철저한 해명이 대검찰청을 통해 행해질 것을 요구하고 있다”며 “만약 사이버 선전이 조직적으로 행해졌다면, 그것은 우리가 어렵게 쟁취한 민주주의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라는 중앙일보의 사설을 소개했다.

한편, 국정원 사건에 대한 외신들의 반응과 동향을 꾸준히 알려오고 있는 ‘정의와 상식을 추구하는 시민네트워크’는 24일 “세계적인 권위지인 뉴욕타임즈의 보도와 세계적인 통신사인 AFP의 기사로 전 세계 언론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외신들의 보도가 지금까지 비교적 담담하던 태도에서 급격하게 박근혜 정권에 비판적인 쪽으로 변하고 있어 박근혜 정권이 더욱 궁지에 몰리는 형국”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한편, 정상추는 AFP의 이같은 보도가 전세계 50개 외신을 통해 보도됐다고 밝혔다.

다음은 정상추의 <AFP>기사 번역 전문
번역 : 정상추 네트워크 소속 임옥

S. Korea election meddling scandal threatens Park
한국 대선개입 스캔들이 박근혜를 위협하다

Seoul (AFP) - A simmering row over alleged election meddling by South Korea's domestic spy service is threatening to boil over into a full-blown scandal that could seriously scald President Park Geun-Hye's administration.
한국 국정원의 대선개입을 두고 조용히 달구어지고 있던 논란이 박근혜 대통령의 정부에 치명적인 화상을 입힐 수도 있는 거대한 스캔들로 무섭게 끓어오를 조짐이 보인다.

An investigation into what initially seemed the work of a couple of maverick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NIS) agents, has now become a wider probe into a possibly coordinated online smear campaign against the opposition candidate in last year's presidential poll.
애초에는 몇 명의 나쁜 국정원 요원의 행동으로 보였던 것에 대한 수사로 시작해서, 이제는 지난해 대통령 선거 당시 야당 대선후보에 대해 조직적으로 기획된 인터넷 비방 작전으로 의심되는 보다 광범위한 수사로 진행되었다.

In the latest development, federal investigators on Tuesday questioned senior commanders at the Defence Ministry's cyber warfare headquarters over possible military involvement.
가장 최근에 전개된 상황으로서, 지난 화요일 국정감사에서 국방부 사이버사령부의 지휘관들에 대해 군의 개입의 가능성에 대한 질의가 있었다.

The probe has focused on the origin of multiple online posts that denounced opposition presidential candidate Moon Jae-In as a North Korean sympathiser, while extolling the virtues of ruling party candidate Park Geun-Hye.
이 조사는 집권당의 박근혜 후보의 덕목을 칭송하고 야당 문재인 후보를 종북주의자라 비난했던 다수의 인터넷 게시글의 근원지가 어디인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Park, who won the election by a narrow margin, has strenuously denied any involvement.
근소한 차이로 선거에서 승리한 박근혜는 자기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일이라고 필사적으로 부인해왔다.

Her opinion poll ratings remain high and analysts say there is currently no real threat to her legitimacy, unless she becomes implicated in any attempted cover-up.
박근혜에 대한 지지도는 여전히 높으며, 분석가들은 박근혜가 사실을 은폐하려는 시도를 한 것으로 밝혀지지 않는 한, 현 정권의 정통성에 대한 실제적 위협은 아직 없다고 본다.

In a recent meeting with opposition leaders over the issue, a clearly frustrated Park reportedly asked: "Are you seriously suggesting I was elected because of some online postings?"
최근 야당 지도부와의 회담에서, 박근혜는 무척 격앙되어, "내가 댓글 때문에 당선됐다는 것인가?"라고 물었다고 전해진다.

But allegations that the government has sought to suppress investigations into the scandal have been reinforced by a rift in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하지만 정부가 이 선거개입 스캔들에 대한 수사에 압력을 행사하려 했다는 혐의가 최근에 검찰청에서 불거진 불화로 인해 재확인 되었다.

On Monday, senior prosecutor Yun Seok-Yeol, who had led the probe into the NIS until his dismissal last week, told a parliamentary committee hearing that he had come under pressure to soft-pedal the investigation.
지난주 수사팀에서 배제되기 전까지 국정원 대선개입 조사를 지휘했던 수사팀장 윤석열 검사는 수사를 대충하라는 압력을 받았었다고 월요일 국정감사에서 증언했다.

Yun was dismissed from the case on Thursday after he arrested three NIS agents suspected of writing posts as part of the smear campaign.
윤검사는 목요일 대선 비방작전의 일환으로 인터넷 게시글을 작성한 혐의를 받고 있는 세명의 국정원 직원을 체포한 이후 수사팀에서 배제되었다.

He was accused of not following protocol, but Yun suggested the real reason was the progress his probe was making.
윤검사가 규정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지만, 진짜 이유는 그의 조사에서 밝혀진 진척사항들 때문이라고 윤검사는 말했다.

While the number of anti-Moon and pro-Park posts emanating from the NIS had initially been put at less than 100, Yun said his team had found that agents had posted nearly 60,000 incriminating Twitter messages.
국정원에서 작성한 문재인을 비방하고 박근혜를 지지하는 글들의 숫자가 처음에는 100개 이하였지만, 윤검사는 국정원 직원들이 거의 60,000개의 비방 트윗 글들을 게재한 것을 그의 수사팀에서 찾아냈다고 말했다.

"And further investigation would likely yield much more," Yun told the parliamentary committee, adding: "We saw it as a grave, unprecedented crime." Asked whether Justice Minister Hwang Kyo-An was among those who pressured his team, Yun replied: "I think he was."
"그리고 추가 조사를 하면 더 많이 찾아낼 것이다," 라고 윤검사는 국정감사에서 말했으며, 이어서 "우리는 이 사건을 전례없는 중대한 범죄로 보았다," 라고 덧붙였다. 수사팀에 압력을 넣은 사람중에 법무장관 황교안이 포함되어 있는지 질문 받자, 윤검사는 "그렇다고 생각한다," 라고 답했다.

The affair has already resulted in the arrest of former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NIS) chief Won Sei-Hoon, and opposition lawmakers believe other senior officials were involved.
이 사건으로 이미 전 국정원장 원세훈이 구속되었으며, 야당 국회의원들은 다른 고위 관료들도 연루되어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It was systematic interference ... The whole story has not been revealed. This is just the tip of the iceberg", an MP from Moon's Democratic Party said in a radio interview on Monday.
"이것은 조직적인 개입이다 ... 전체 스토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것은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라고 문재인 후보가 속해 있는 민주당의 한 국회의원은 월요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말했다.

As for the cyber warfare unit, the Defence Ministry has confirmed that four of its members had posted political messages on blogs and Twitter, but insisted they acted alone and not as part of any coordinated campaign.
국방부는 사이버사령부 4명의 요원이 블로그와 트위터에 정치글을 게시한 것을 확인했지만, 그들이 개인적으로 한 것이지 조직적인 캠페인의 일환은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In a country where most of the electorate is old enough to have experienced military dictatorship, any suggestion of state interference in the democratic process is extremely sensitive.
유권자의 대부분이 군사독재를 경험했던 정도의 나이가 든 나라이니만큼 민주적 절차에 국가가 개입했다는 어떤 암시도 극히 민감한 사안이다.

The opposition has organised a number of large protests over the NIS, including a candlelight demonstration at the weekend that drew 15,000 people.
야당은 지난 주말 15,000명이 참석한 촛불시위를 비롯해 수많은 국정원 규탄 시위를 벌여왔다.

"Democracy is based on fair elections. Something that should not happen has happened," said Seoul National University Political Science professor Kang Won-Taek.
"민주주의는 공정한 선거에 기초하고 있다. 일어나서는 안될 일이 일어났다," 라고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강원택 교수는 말했다.

"Unless addressed properly, this issue will damage Park and the ruling party, especially during next year's local elections", Kang told AFP.
"적절히 해결하지 못한다면, 이 이슈는 특히 내년 지방선거에서 박근혜와 여당에 피해를 줄 것이다," 라고 강교수는 AFP에 말했다.

The opposition has made it clear that it is not demanding a re-run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but it does want to see heads roll and efforts made at institutional reform.
야당은 대선을 다시 실시하자는 요구를 하는게 아니고, 관련자의 해임과 국정원 개혁을 위한 노력을 원한다고 말했다.

As well as an apology from Park, the opposition is calling for the current NIS chief Nam Jae-Joon, Justice Minister Hwang and Seoul District Chief Prosecutor Cho Young-Kon to all step down.
박근혜의 사과 뿐만 아니라, 야당은 현 국정원장 남재준, 법무부 장관 황교안, 그리고 서울지검장 조용곤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Even the normally supportive conservative press has called for a full account from the NIS and through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보수신문조차도 국정원에 대한 철저한 해명이 대검찰청을 통해 행해질 것을 요구하고 있다.

"If the cyber propaganda took place systematically, that's a serious threat to our hard-won democracy," the JoongAng Daily said in an editorial.
"만약 사이버 선전이 조직적으로 행해졌다면, 그것은 우리가 어렵게 쟁취한 민주주의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다," 라고 중앙일보 사설은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