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도병 이우근, 후쇼사 특공대원 오가타 죠와 판박이?

네티즌 “교학사로 쓰고 후쇼샤라 읽는다”

역사왜곡, 표절의혹 등 숱한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가 이번에는 짝퉁논란에 휩싸였다.

문제의 부분은 교학사 한국사 중학교 교과서 313쪽에 실린 ‘학도병 이우근’ 코너로, 정의당 정진후 의원은 11일, 엉터리 사진을 실어 말썽을 빚었던 ‘학도병 이우근’ 코너가 일본 극우성향의 후소샤 교과서와 판박이라며 관련 증거를 제시했다.

‘학도병 이우근’ 코너는 중학교 3학년에 불과한 이우근이 학도병으로 6.25에 참전해 전사 직전 남긴 편지의 일부를 소개하면서 학도병이 수적으로 훨씬 우세한 북한군을 저지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정진후 의원은 “어린 나이에 참전해 죽어간 소년, 소녀들의 죽음에 대한 역사적 성찰 없이 이들을 전쟁 영웅으로 묘사하는데 급급함으로써 어린 학생들에게 전쟁의 비극보다는 전체주의적 희생심을 고취시키는 의도가 읽히는 매우 비교육적 코너”라고 비판했다.

문제는 ‘학도병 이우근’ 코너가 일본 극우세력이 만든 후쇼샤판 ‘시판본 새로운 역사교과서’(2001) 279쪽에 실린 내용과 일맥상통하다는 점이다.

이 페이지에는 별도의 학습자료에 ‘특공대원 오가타 죠’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오가타 죠는 23세 젊은 나이에 오키나와에서 전사한 특공대원으로, 교과서에는 그가 쓴 유언시가 소개 되고 이어 “일본은 왜 미국과 전쟁을 했을까? 지금까지 학습을 돌이켜 정리해보자”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에 대해 <노컷뉴스>는 “일본의 침략 사실을 은폐하고 전쟁을 미화하려는 의도”라며 “특공대원의 유서를 읽는 중학생들이 침략 전쟁의 부당함이나 전쟁의 비극성보다 참전군인에 대한 추모와 애국을 먼저 떠올리게 하려는 속셈이 숨어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진후 의원은 “역사교과서의 첫 번째 조건은 교과서로써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에 있어야한다”며 “그러나 일본의 극우 교과서를 닮은 교학사 교과서는 어린 학생들에게 나 자신과 다른 사람의 삶을 소중히 여기고 존중하며 살아가야 한다고 가르쳐야 하는 교육적 목적에 위배되는 만큼 검정이 취소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끊이지 않는 교학사 교과서의 역사왜곡 논란에 네티즌들의 비난도 거세지고 있다.

한 네티즌 ‘기차와**’는 “교과서가 전쟁을 정당화하고 미화하면 또 수많은 사람이 죽는 전쟁이 일어난다. 이런 교과서를 어떻게 만들 수 있나?”라고 개탄했다.

또 다른 네티즌 ‘돌*’는 “군대도 가지 않고 자식들을 빼돌린 이 땅의 기득권들이 전쟁을 찬양하는 이런 파렴치함을 드러냈다. 진정한 보수는 지킬 것을 지키는 것인데, 그 지킬 것이 자기 몸둥아리와 재산이라니”라는 글을 게시했다.

이밖에도 “이렇게 국가 공인 친일해도 되는거야?”(배후***), “교학사로 쓰고 후쇼샤라 읽는다”(불통닭*******), “교학사 교과서가 한국판 일본 교과서?”(여섯달*****), “교과서야 역사소설이야?”(bo****), “여기저기서 떠다 짜깁기한 엉터리 저자들도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저런 교과서를 검증통과 시켜준 이들 면상이 더 궁금하다. 대체 뭘 보고 저걸 통과시켰을까??”(****21), “이게 일본교과서냐?”(돌고****), “대한민국의 교과서로 집필되었다는 자체가 수치다”(새옹**), “도대체 뭘 만든거냐?”(다버*)라는 등의 비난이 잇따랐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