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인사’ 김성수 동향, 틀린 사실도 그대로
역사 왜곡 논란에 이어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표절 의혹이 제기됐다. 이는 대표적인 친일인사를 항일인사로 미화시켰다는 비판이 제기된 ‘김성수의 광복직전 동향’(292쪽)부분이 한국어 위키백과의 김성수 서술과 흡사한 것으로 지목되면서 불거졌다.
6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위키백과에는 “1940년 8월 10일 일제가 동아일보를 강제 폐간시키자, 김성수는 고향으로 돌아가 1945년 8.15광복 때까지 칩거, 은거하였다. 1941년 태평양전쟁 이후 일제로부터 창씨개명을 강요당하였으나 거절하였다. 또한 일제가 주는 작위 역시 거절하였다”는 부분이 나온다.
이 부분이 교학사 교과서에는 “1940년 8월 일제가 동아일보를 강제 폐간시키자 사주인 김성수는 고향으로 돌아가 광복 때까지 은거하였다. 일제로부터 창씨개명을 강요당하였으나 거절하였고, 일제가 주는 작위도 거절하였다”고 실렸다.
10문장가량이 흡사한 것은 표절 의심을 충분히 살 만하다는 것이 교과서 집필 경험이 있는 여러 학자들의 중론이라고 <경향>은 전했다.
특히 표절 논란이 부각되는 부분은 위키백과에서 잘못 쓴 사진설명 글을 교학사 교과서에서 똑같이 썼다는 점이다.
위키백과는 ‘문약의 고질을 버리고 상무기풍 조장하라’라는 글이 실린 매일신보 사진 아래에 “1973년 8월5일자 매일신보 사설란에 인촌 김성수 명의로 게재된 글. 그러나 이는 매일신보 기자 김병규가 벌인 명의도용 등과 관련해 진위여부를 놓고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사진설명을 실었다.
교학사 교과서에서는 “1943년 총독부 기관지라고 할 수 있는 매일신보 사설란에 김성수 명의로 징병에 찬성하는 ‘문약의 고질을 버리고 상무기풍 조장하라’는 글이 실렸다. 물론 이 글은 매일신보의 김병규 기자가 명의를 도용하여 쓴 것이라고 하는데 오늘날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고 썼다.
김성수의 친일행적과 변호론에 대한 논문을 썼던 장신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은 “김병규 대필설의 근거는 유진오 회고록인데, 정작 회고록에는 ‘문약의 고질…’이 아니라 ‘대의에 죽을 때 황민됨의 책무는 크다’라는 글로 명의도용 이유를 대고 있다. 또한 두 글이 다 사설이 아닌 기고문이다. 결국 잘못된 내용을 최소한의 확인도 없이 그대로 베꼈다는 게 드러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교학사 교과서의 해당 단원 공동 저자인 이명희 공주대 교수는 김성수 자료의 출처를 묻자 “자료를 알아본 후 연락을 주겠다”고 했다가, 40분 후 통화에서 “금방 대답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니다. 이 단원을 누가 썼는지도 나중에 말씀 드리겠다”고 답했다고 <경향>은 전했다.
교학사 역사 교과서 위키백과 표절 의혹이 일자 한 네티즌(6wiz****)은 “역사교육체계가 부실하다는 지적들이 날마다 쏟아지는 요즘 같은 때에 역사교과서 표절 의혹이라니...교과서가 이런데 학생들에게 대체 뭘 보고 바른 역사를 배우라는건가”라고 개탄했다.
또 다른 네티즌 ‘whso****’는 “한국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가 없다’는 말을 일본에게 할 자격이 없군요. 뭡니까? 어째서 우리가 중국이나 일본이 행하는 저질스러운 짓을 따라하고 있죠?”라고 질타했다.
이밖에도 인터넷상에는 “이걸 통과시켜 준 사람은 뭐냐 도대체. 이 나라가 어디까지 거꾸로 갈 것인지”(yons****), “무슨 교과서를 대학생 과제 하듯이 만드냐”(4syc****), “국사를 필수교과로 제정했으면 뭐하냐 제대로 된 교과서가 없는데”(kiky****), “딴 건 몰라도 역사는 통일시켜야하는 건데...”(bles****)라는 등 비판적인 반응들이 올라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