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댓글 제안했으나 거절…원세훈 주장 명백한 허위진술”
김창호 전 국정홍보처장이 참여정부에서도 국가정보원이 정권 홍보를 위한 댓글 작업을 했다는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주장에 대해 “명백한 허위진술”이라고 반박했다.
김창호 소장은 1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당시 국정원 국내 담당 책임자가 저를 찾아와 FTA 홍보 댓글을 달 수 있게 대통령께 허락을 받아달라고 했으나 제가 ‘그런 일은 옳지 않다’고 거절했다”며 “시정잡배도 아닌 사람들이 명백한 허위진술을 했기 때문에 참 실망스럽다”고 원 전 원장의 말이 사실이 아님을 주장했다.
김 전 처장은 자신의 메모내용을 토대로 2006년 7월19일 오후7시 한 호텔 중식당에서 이같은 제안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국정원이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할 수 없었기에 자신에게 제안이 왔다며 “참여정부는 (국정원의) 정치나 정책에 개입하는 역할을 거의 차등화시켜놨다”고 밝혔다.
김 전 처장이 당시 노 대통령에게 이같은 상황을 구두보고 하자 노 전 대통령이 “잘 하셨다, 절대 국정원이 여기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김 전 처장은 노 전 대통령이 전화로 “국정원에 분명히 내 의사를 전달해라. 절대 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면서, 민정 수석실과 국정상황실의 협의를 거쳐 국정원에 이같은 지시를 했다고 설명했다.
김 전 청장은 MB 정권의 댓글 공작 가능성에 대해 “국정원이라는 정보조직은 대통령의 인지나 허락 없이 움직이기가 쉽지 않다”며 “따라서 그 책임의 문제를 어떤 식으로든 본인이 전체적으로 책임을 지는 상황들은 만들지 않을 걸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그래서 지금과 같은 이명박 정부 아래서 선거 개입을 위한 이같은 댓글작업은 이 대통령이 모르고 진행됐다, 그것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청장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청문회 증인선서 거부에 대해서도 “공직을 지낸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나는 허위진술을 하겠다’고 천명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이런 정보의 윤리의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공직을 맡고 있었느냐. 이런 분들의 어떤 윤리 문제, MB정부의 공직자 수준의 문제를 생각하게 하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