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표, “국가기록원, 봉하 이지원 무단 봉인해제”

“항온‧항습 점검 등 2번 로그인”…이기명 “27일, 10만 촛불로 규탄”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분실’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이 봉하 이지원시스템을 무단으로 봉인해제하고 접속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홍영표 민주당 의원은 2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3월26일 노무현재단 사료팀이 대통령기록관에 보관 중인 노무현 대통령의 개인기록을 제공받기 위해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했을 당시, 지정서고에 보관돼 있던 봉하 이지원시스템의 봉인이 해제돼 있었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또 “봉하 이지원시스템에 접속한 흔적(로그 기록)을 확인했다”며 “로그 기록 확인 작업 직후, 두 건의 로그 기록이 바로 발견됐고 재단 측은 이의제기 후 추가 확인 작업을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봉하 이지원시스템이란 노 전 대통령이 퇴임 직후 회고록 준비 등을 위해 봉하마을로 가지고 내려 갔던 대통령기록물로 퇴임 직전 대통령기록관으로 넘긴 본래 이지원시스템의 사본이다.

홍 의원은 “봉하 이지원 시스템을 검찰과 대통령기록관, 노무현 전 대통령측이 함께 입회해서 봉인한 이상, 봉인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노 전 대통령 측에는 사전 협의와 양해를 구해야 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는 상식”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럼에도 아무런 협의 없이 대통령기록관 측이 단독으로 봉인을 해제하고, 이지원시스템에 마음대로 접속했다는 데 대해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홍 의원은 아울러 “대통령기록관 측은 봉하 이지원시스템의 봉인을 해제하고, 접속한 경위에 대해 분명하게 해명해야 한다”면서 “아울러 밝혀진 두 건 이외에 추가로 접속한 사실이 없는지 신뢰할만한 방식의 확인 작업 또한 즉각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1’에 따르면, 홍 의원은 기자회견 직후 기자들과 만나 두 번의 로그 기록을 노무현 재단측 실무자 두 명이 직접 확인했으며 이에 대해 대통령기록관 측에 해명을 요구하자 대통령기록관 측은 시스템 작동여부와 항온·항습을 위해 각각 2010년과 2011년 접속한 것으로 해명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소식에 네티즌들은 이는 대통령기록관이 기록물관리법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비난하며 이같은 불법행위에 10만 촛불로 국민적 저항을 일으켜야 한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이기명 노무현대통령후원회장은 자신의 트위터(@kmlee36)에 “대통령기록관, 니들이 엿장수냐. 기록관 이지원 열고 말고 맘대로냐. 이 자들을 잡아다가 주리를 틀어야 한다”고 맹비난했다.

그러면서 “그들에게 법도 안중에 없다”고 꼬집고는 “하물며 상식정도야 말해 무엇하랴. 공개적 불법도 마다하지 않는다. 국민의 저항은 가능한가. 촛불뿐이다. 27일, 10만이 촛불을 켜면 된다”고 제안했다.

또 한 네티즌(기록원장**)은 “국가 기록원장 즉각 파면하라. 모든 것이 기록원장 공모해서 국정원 새눌당으로 기록 원본 흘러 들어간 것”이라며 “대선 때 열어보고 이용해 당선된 후 이놈들이 폐기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네티즌 ‘**묘담’은 “아;;; 그러니까, 관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봉인을 해제했다고 변명했네요. 그럼 저건 기록관리법 위반 사실을 인정한거군요. 기록관리사가 아닌 행정관을 기록원장으로 임명한 것부터 지정기록물 무단열람까지 싹다 그냥 징역감이네요”라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트위터상에는 “MB의 지시 없이 가능했을까?”(@tan******), “MB가 심어놓은 기록관장과 사무관 짓이겠죠”(**깊숙이), “국가기록원이 얻는 실익은 없다. 이 불법행위로 실익을 얻을 수 있는 집단은...삼척동자도 안다. 귀태들...”(@ici*****), “이것으로 일련의 범죄행위는 최고권력자의 묵인 혹은 최소한의 암묵적 지시로 이뤄진 치밀하고 계획적인 반역사적 범죄임에 의심할 여지가 없다”(@jso******)라는 의견들이 게시됐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