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소식 SNS 등에 뒤늦게 알려져… 네티즌 애도 물결
한국민주청년단체협의회 전국동지회 홍만희(50) 회장이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규탄 성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현 시국의 엄중함에 항의하며 자결한 소식이 뒤늦게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알려져 네티즌들의 안타까움을 사고 있다.
10일 <경북인뉴스>는 한청협전국동지회 관계자의 말을 빌어 “최근 국정원의 호남비하 발언 댓글 등에 비분강개하며 무척 괴로워했었고 이 과정에서 격분을 참지 못하고 홀연히 세상을 떠났다”고 보도했다.
고인의 유가족들 등은 11일 영동세브란스 병원에서 발인식을 갖고, 민주당 영등포 당사로 운구한 후 같은 당 유기홍 의원의 추도사로 영결식을 치뤘다. 이어 옛 한청협 사무실인 서대문 노터리에서 노제를 지낸 뒤 고인은 마석 모란공원에 묻혔다.
한청협은 1987년 이후 전국 청년들이 결성한 청년대중운동 조직으로 1992년 2월 창립되었다. 민청련의 후신 단체로 각 지역과 전국단위에서 청년문화활동과 지역대중운동을 펼쳐 왔다.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뒤늦게 홍 회장의 안타까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의 추모 물결이 이어졌다. 특히 <경북인뉴스>의 기사에는 고인의 명복을 비는 글들이 잇따랐다. 또한, 문성근 전 민주당 상임고문과 서해성 성공회대 교수 등도 관련 소식을 리트윗 하며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젊은 층이 주로 찾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촛불을 들어야 합니다. 고인의 뜻을 이어가야 하겠습니다”(피**), “얼마나 분노가 크셨으면 이런 선택을 하셨을까요?”(nom******), “고인의 넋이 헛되지 않도록 꼭 바로 세우도록 노력해야 겠네요”(빨간**)라는 등의 글들이 잇따라 게시됐다.
해당 사건을 처음 보도한 <경북인뉴스>의 유경상 기자는 ‘go발뉴스’에 “한청협 관계자로부터 (홍만희 회장이)스스로 목숨을 끊은 안타까운 소식을 들었다”며 “자기 신념과 기조를 지키거나 시대의 불의에 항변하기 위한 죽음이 자결이라 생각해 그렇게 표현했다”고 밝혔다.
이어 유 기자는 “현 시국에 대한 사건인데 메이저 언론에서 왜 보도되지 않는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 다음은 한청협전국동지회의 시국규탄 성명서 전문 [한국민주청년단체협의회 전국동지회 긴급성명] 8,90년대 나라의 민주주의와 통일을 위해 청춘을 바쳐 전국 경향각지에서 투쟁해온 우리는 각자 삶의 현장에서 미약하나마 사회발전과 역사의 전진을 믿으며 묵묵히 살아왔다. 하지만 지난 18대 대선에서 국가정보원과 경찰청이 건국 이래 최대의 부정선거를 저질렀다는 소식에 우리는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다. 국가기관이 국민적 축제인 선거에 개입해 숭고한 주권을 찬탈하고도 모자라 거짓을 일삼고, 심지어 민족의 운명이 걸린 문서를 왜곡하고 허위로 공개해 국제적 나라망신을 야기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최근 언론에 공개된 바에 따르면 새누리당 대선본부장이었던 김무성은 대선이 새누리당에 불리하게 전개되자 일반인의 신분으로는 도저히 접근할 수 없는 남북정상회담 문건을 불법으로 입수해 공개하고, 권영세 상황실장은 ‘대선에서 이기면 이것을 깔 것’이라고 공공연히 밝히기도 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로 미루어 이명박근혜가 ‘부정공작선거를 자행해 재집권 하려는 계획’아래 이루어 졌다는 강한 의구심을 갖는 것이다. 이명박과 박근혜는 정권연장에 합의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이명박 측에서는 국정원과 경찰을 동원해 부정을 저지르고, 박근혜는 김무성과 권영세 등을 앞세워 기획과 공작으로 정상회담 문건을 불법으로 공개하는 등 선거를 혼탁하게 해 결국 국민의 신성한 주권을 강탈했다는 것이다. 이에 우리는 부정선거 책임자들을 전원 엄중 처벌할 것을 촉구한다. 선거를 통해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자 했으나 이제 선거는 무용지물이 됐다. 선거를 한들 무슨 소용 있겠는가? 더욱 교묘하게 선거부정을 저질러 민의를 왜곡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국정원과 경찰의 선거개입을 막지 못한다면 이제 정치군인들이나 출세에 눈 먼 공무원들의 선거개입과 정치개입도 막지 못할 것이다. 우리는 이제 다시 저항의 길로 나간다. 무엇보다 후퇴하는 민주주의를 보고만 있을 수 없다. 우리의 요구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우리의 요구가 관철될 때 까지 전국적으로 저항의 행동을 할 것임을 천명한다. 우리의 요구 2013년 7월 10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