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선거, 실제 득표율과 천지차이 도표 ‘급확산’
선거 6일전까지 경마식 여론조사 보도가 쏟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의 함정’에 빠지지 말 것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앞서 2010년 지방선거와 2011년 서울시장 재보선 당시 언론들은 앞다투어 보도를 쏟아냈지만 실제 투표 결과 10~20%까지 오차를 보여 비난을 받았었다.
다음 토론방 ‘아고라’와 SNS 등에는 “여론조사결과와 실제 득표율이 차이가 이렇게 크다, 여론조사에 속지 말자”면서 지난 선거들의 ‘여론조사와 실제 득표율 비교표’가 확산되고 있다. ‘나는 꼼수다’ 김용민 PD가 만든 도표로 2011년 10.26 서울시장 재보선, 2010년 6.2 서울시장 선거, 2011년 4.27 강원지사 재보선, 2010년 6.2 강원지사 선거가 일목요연하게 비교 정리돼 있다.
트위터러 ‘Coc*****’은 3일 “SBS, 중앙일보 등... 약속한 듯이 오차범위 밖의 차이가 난다는 여론조사를 공표하는군요! ‘여론조작’의 시즌이 온 것 같네요”라며 “‘여론조작’ 의 목표는 밴드왜건효과 만들기, 사표심리 자극이 목표겠지요! 투표율 저하와 함께~ 절대 속지 맙시다!”라고 주장했다.
‘tkdg******’도 “여론조사기관에 의한 여론조작은 부동층과 무당파의 투표의욕상실로 인한 투표율 저하를 노린 꼼수다”라며 “치졸한 꼼수에 당하느냐, 아니냐는 99% 국민의 몫이다”라고 지적했다.
정치평론가 서영석씨는 “들쭉날쭉 여론조사”라며 최근 언론사별 여론조사 비교표를 링크한 뒤 “제일로 웃기는 건 중앙일보와 JTBC이다, 같은 기간, 같은 계열사인데도 차이가 엄청나죠?”라고 지적했다.
또 서씨는 “당선가능성 박근혜 53.7% vs 문재인 32.1%, 박이 20%p쯤 앞서”란 <한겨레> 3일자 여론조사 보도를 소개한 뒤 “2002년 11/25 갤럽조사 당선가능성은 이회창 58% vs 노무현 28%, 누가 이겼더라?”라고 반박했다.
여론조사의 응답률도 도마 위에 올랐다. 김용민 ‘나는 꼼수다’ PD는 “SBS-TNS 여론조사가 1500명 채우려고 만 명에게 전화 건 거라고 하네요(응답률 15%)”라며 “미국의 경우 응답률 30%를 넘지 않는 여론조사는 폐기처분 하도록 돼 있습니다”라고 2일 발표한 SBS 조사에 의문점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 김 PD는 2007년 2월 28일자 <한국일보> 기사를 소개했다. <한국>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1000명을 표본으로 할 경우 전화 거는 대상을 3000명 정도로 한정하며 넘을 경우 표본에 치우침이 생긴 것으로 보고 표본을 줄이거나 파기한다. 때문에 응답률의 기준은 30% 이상, 보통 40~50%에 이른다는 것.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1000명을 채울 때까지 계속 전화를 걸기 때문에 1만명 이상에게 전화를 걸 경우가 많으며 응답률은 정치조사의 경우 10~15% 수준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100%에 가까이 인구센서스로 조사한 결과와 비교할 때 응답률이 낮은 경우가 응답률이 높은 경우보다 조사결과에 있어 더 일치하는 연구가 많았다”며 “30% 이하면 폐기해야 한다는 2007년도 유언비어는 이제 종적을 감춘 지 오래이다”고 반박했다.
응답률에 대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BNF리서치 이종관 대표는 ‘go발뉴스’와의 통화에서 “선거가 가까워질수록 여론조사 폭주가 되니까 오히려 응답률이 떨어진다”며 “우리나라 현실에서 15% 정도면 신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방선거와 총선 등에서 오차가 컸던 이유와 관련 이 대표는 “2010년 지방선거 때는 가정집 전화로만 하니까 조사결과와 실제 투표결과가 10~20%까지 차이가 나는 경우가 생겼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이후 RDD, 휴대전화 등을 도입해 총선에서는 5~10%까지 오차를 줄였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네르바, PD수첩 사태 등 MB정권의 억압 정치 때문에 말을 안 하고 끊어버리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기 시작하면서 숨은 표가 생겼다”면서 이 대표는 “5% 정도 될 것이다, 야당 후보에게 적용되는 표이다”고 분석했다. 그는 “지금 여론조사에서 야당의 지표에 나와 있는 숫자에서 +5로 해야 정확한 수치가 나온다”고 주장했다.
조기숙 이화여대 교수는 ‘go발뉴스’에 “진보 보수 할 것 없이 언론사들이 다 편향적이기에 여론 조작의 의도를 가지고 한다”면서 “여론조사는 저들의 의도가 이것이구나 정도 판단할 수 있는 자료일 뿐이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의학적 지식이 많은 의사가 환자의 피, 소변 검사 등을 통해 종합적 판단을 내리듯이 여론조사도 이론과 지식을 이미 갖고 있는 사람이 과학적 방법을 통해 종합적인 판단을 내릴 근거로 이용돼야 한다”면서 “지금 여론조사는 오로지 누가 이기고 지나만 보는데 그 기능은 여론조사가 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