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일베의 방어 논리 제공으로 주중대사 됐다면 큰 문제”
민주당이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의 ‘국정원 선거 개입’ 은폐의 배후인물로 권영세 당시 선대본 종합상황실장(현 주중대사)을 지목한 가운데 권 전 실장이 대선 당시 트위터에 올린 글들이 17일 재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는 5월 25일 자신의 트위터에서 권 전 실장의 대선 당시 트위터(@Kwon_Youngse)의 글을 찾아내며 국정원 사건 무마의 주역으로 지목했었다.
5월 25일은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검찰에 재소환돼 12시간 넘게 강도 높은 조사를 받은 날이다. 이날 조사로 서울경찰청이 ‘국직원 김모씨의 댓글’ 분석 키워드를 축소해 분석한 뒤 12월 16일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했으며 노트북 컴퓨터에 들어 있던 증거분석 자료를 전부 없앤 사실이 드러났다. 또 5월 20일 검찰의 압수수색 직전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소속 사이버분석팀장 박모 검장이 ‘인티포렌식 삭제 프로그램’으로 수사 자료를 인멸한 정황이 드러나기도 했다.
표 전 교수는 “대선 당시 국정원 사건 박근혜 후보와 새누리당의 대응, 일베 등 극우들이 사용한 “국정원 여직원이 피해자 감금, 인권유린, 성폭행범이나 쓰는 수법, 즉시 강제는 불법적” 등 논리 최초 제공자가 일단 전직 검사 권영세 현 주중 대사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표 전 교수는 “권영세씨가 만약 대선 당시 국정원 사건 방어 논리, 역공 논리 제공에 대한 유공으로 주중대사가 되었다면 큰 문제”라며 “그는 중국 전문가도 외교전문가도 통상이나 북한 전문가도 아니다”고 ‘보은 인사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표 전 교수는 권영세 전 실장의 트위터를 살펴본 뒤 “국정원 사건 관련 대선 당시 새누리당 측 주장과 논리들이 집중 발언되고 있다”며 “최초 주창자인지 전달자인지 모르겠지만, 전직 고위 검사로 법률 브레인 역할을 한 이분의 ‘무게’로 보아 단순전달자는 아닌 듯하다”고 분석했다.
권 전 실장은 ‘국정원 댓글’ 사건이 불거졌을 대선 당시 “방금 전 경찰이 국정원 여직원 댓글 흔적이 없다고 발표! 문재인 후보는 토론에서 박 후보가 근거없이 피의자를 ‘두둔’한다고 뭐라 하셨는데 아무 근거 없이 무고한 사람을 ‘감금’하고 언론인들을 폭행한 자신들의 문제는 어떻게 하시려는지요?”, “박근혜가 문재인에게 국정원 여직원 인권 유린 문제에 대해 사과할 기회를 주었지만 걷어 차버린 문재인. 기회는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집니다. 다만 그것이 기회인지 아닌지를 아는 분별력에 차이가 있을 뿐이지요” 등의 글을 올렸었다.
권 전 실장의 트위터에는 12월 31일 감사 인사를 끝으로 더 이상 글이 올라오지 않고 있다. 대선 당시 권 전 실장의 트위터 행적을 살펴보면 이전에는 하루에 2~3개 정도 올리다가 12월 16일부터 18일까지 집중적으로 글을 올렸다. 12월 16일은 대선후보 3차 토론 직후 김용판 전 청장의 지시로 경찰이 기습적으로 중간수사를 발표하던 날이다.
이와 관련 지난해 12월 16일 밤 경찰 수사 발표 당시 <연합뉴스>의 <경찰 “국정원 여직원 댓글 흔적 발견 못해”(1보)>란 ‘제목 속보’가 노출된 시간은 23시 06분이었다.
이어 경찰의 발표 내용을 담은 <경찰 “국정원 여직원 文후보 비방댓글 흔적 발견못해”(2보)> 기사가 23시 24분에 보도됐다.
<헤럴드경제>는 23시 25분에 <경찰 “국정원 여직원 댓글 흔적 발견 못해”(1보)>란 ‘제목 속보’를 내보냈다.
경찰 발표와 관련해 권영세 전 실장의 관련 트윗 글이 올라온 시각은 12월 16일 23시 21분이었다. 권 전 실장은 “방금 전 경찰이 국정원여직원 댓글 흔적없다고 발표! 문재인 후보는 토론에서 박후보가 근거없이 피의자를 ‘두둔’한다고 뭐라 하셨는데 아무 근거 없이 무고한 사람을 ‘감금’하고 언론인들을 폭행한 자신들의 문제는 어떻게 하시려는지요!”라고 비판했다.
앞서 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지난해 12월16일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을 중심으로 권영세 상황실장과 박원동 당시 국정원 국익정보국장이 여러 차례 통화했다는 제보가 민주당에 들어왔다”며 ‘국정원 사건’ 은폐의 배후 인물로 권 전 실장을 지목했다.
박 의원은 “김용판 전 청장은 TK(대구·경북) 출신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요상하게도 국정원에서 상당기간 근무하다 경찰에 투신했다”며 “권영세 전 실장은 훌륭한 검사였지만, 국정원에 파견돼 3년간 근무했고, 2011∼2012년에는 국정원 담당하는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이었다. 정보위에는 박원동 전 국장 등도 배석했다”고 세 사람의 관계에 의구심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