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위안부 기념관 보다 박정희 기념관이 중요하냐?”비난
참여정부가 2007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독립기념관 내에 위안부 기념관을 건립하기로 한 것을 독립기념관 이사회가 반대하고 이명박 정부가 백지화시킨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6일 독립기념관 측이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독립기념관 이사회는 지난 2007년 일본군 위안부 기념관 건립 사업과 관련해 별도의 전시관 조성에 반대한다고 의결했다.
이날 <뉴시스>보도에 따르면, 당시 이사회 회의록에는 “여성위안부는 희생자이고 독립운동의 주체가 아니다”, “위안부회관은 안 된다. 여성독립운동관을 짓는 문제는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여성독립운동과 피해시설과는 구분돼야 한다”는 등의 의견이 나온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이사회 반대 의결 결정과 관련 독립기념관 측 한 관계자는 ‘go발뉴스’에 “독립기념관 이사회에서 반대를 했다는 것은 독립기념관 부지중 ‘서곡’에 건립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낸 것”이라면서 “위안부 기념관 건립은 여성가족부 주체로 추진된 사업이다. 독립기념관에서 진행을 할지 말지 결정할 수 있는 권한도 없고, 사업 주체도 아니”라고 말했다.
여성가족부의 경우, 2007년 3차 여성정책기본계획에서 위안부 피해자 기념관 건립계획을 확정했다가, MB정권 출범 직후인 2008년 12월 발표한 3차 계획 수정판에서는 기념관 건립사업을 아예 제외시켰다고 <뷰스앤뉴스>는 보도했다.
당초 참여정부 마지막 여성가족부 수장인 장하진 장관은 지난 2007년 8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념관 건립 사업과 관련해 8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약 1650㎥(약 500평)의 단층 건물을 2년 내에 신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업 주체인 여성부는 2008년 이명박 정부로 정권이 바뀌자 예산 확보 등의 이유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토로했고 결국 일본군 위안부 기념관 신축 건립사업은 무산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여성부는 당초 계획한 위안부 피해자 기념관의 10분의 1정도 규모로 독립기념관 전시관 내 일본군 위안부 관련 전시물을 확충‧보강했다.
이에 대해 독립기념관 측은 “여성가족부의 해당사업이 계속 진행이 되지 않다가 한참 뒤 일부 예산을 저희쪽에 지원해줘 독립기념관 2전시관 내 기존 위안부 전시관 코너를 확대 전시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여성가족부 측은 ‘go발뉴스’에 “(독립기념관)이사회에서 반대해 신축 사업이 추진되지 못하면서 기존 시설을 보강하는 데 약 11억 정도의 공사비가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또, 예산 확보 문제와 관련해서는 “당시 예산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정도만 들었다”면서 “이와 관련해 정확한 사항은 잘 모른다”는 입장을 전했다.
현재 여성가족부에서는 별도의 위안부 기념관 건립 사업은 검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여성가족부는 다만, 국무총리실 산하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지원위원회’에서 부산에 ‘일제강점기 기념관’ 설립을 추진하는데 그 중 위안부 전시관을 위원회와 협조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네티즌들은 “일본 욕할 것도 아니군요”(phil*******), “이런 비리한 사람이 이 나라 대통령을 했으니 나라가 부패공화국이 된것. 지도자의 최대 덕목은 도덕성이다”(shs*****), “내부의 적부터 청산해야 진정한 독립이다”(****자주독립), “새로운 독립운동이 필요하다. 이 땅에 매국노계열들이 사라질 때까지”(새로운*****), “오사카출신 MB가 물러난 지금이라도 위안부기념관을 크게 건립하여 후세의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통탄스럽다), “일제에 부역한 박정희 기념관이 중요하냐? 아니면 나라 팔아먹은 매국노들 때문에 여린 처녀들의 일평생을 망친 한의 역사를 되새기고 잊지 않기 위한 위안부 기념관 짓는 것이 중요하냐?”(**매국노들)라며 비난을 쏟아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