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당선자 국방부 방공호 위치 발언 北매체도 ‘조롱’

‘용산 집무실 이전 반대’ 국민청원 50만 돌파…“국가 안보에 위해”

북한 매체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의 국방부 방공호 위치 발언 등을 비판했다고 뉴스1이 보도했다.

▲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달 20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달 20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1일 기사에 따르면, 북한 선전매체 ‘통일의 메아리’는 이날 “남조선 언론들은 3월20일 윤석열이 기자회견장에서 국방부 청사를 개조해 새 대통령 사무실로 꾸리기 위한 조감도까지 내걸고 설명하던 과정에 2급 군사기밀인 국방부의 지하방공호 B-2의 위치를 노출시켰고 그것이 언론을 통해 실황 중계되면서 더 이상 기밀로 될 수 없게 됐다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이 매체는 “언론들은 지금까지 국방부의 지하방공호 B-2는 물론 청와대의 위기관리센터, 수도방위사령부의 B-1, 한미연합사령부의 전시지휘소 CP탱고, 용산미군기자의 CC서울, 오스카의 존재 여부에 대해서는 일반 주민들에게 알려졌지만 그 위치들은 군사기밀이어서 공개된 적이 없다고 하면서 윤석열의 무지와 안보관에 대해 의문을 가지게 된다고 밝혔다”고 언급했다.

통일의 메아리는 “그러면서 언론들은 윤석열이 섣부른 대통령 사무실 이전으로 민심의 반발을 사고 군사기밀 누설죄까지 쓰게 됐다, 초보적인 군사 상식도 모르는 주제에 어떻게 군 통수권자 역할을 하겠는지 의심스럽다고 야유 조소했다”고 비꼬았다.

▲ <이미지 출처=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캡처>
▲ <이미지 출처=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캡처>

한편, ‘용산 집무실 이전 반대’ 국민청원이 50만 명을 넘어섰다.

앞서 지난달 17일 청와대 게시판에는 “윤석열 당선인 집무실 만들고자, 국가안전 중추인 국방부를 강압 이전하여, 국민의 혈세 수천억을 날리는 것을 막아주십시오”라는 제목의 국민청원이 올라왔다.

청원자는 “윤석열 당선인이 자기만족을 위해서 본인 집무실을 만들겠다고, 국가안전의 최후 보루이자 중추로서 최적화되어있는 국방부의 전문 시설과 시스템을 강압적으로 옮기게 만드는 것은 대한민국 국가 안보에 위해가 된다”고 비판했다.

청원자는 “(이는) 국가 세금의 어마어마한 장비를 초래하는 것이므로 강력히 규탄한다”며 “대한민국 국회에서 국방부의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이전이 허락되지 않도록 막아주시기를 엄중히 청원한다”고 밝혔다.

해당 청원은 지난달 20일 청와대 답변 요건인 20만 명을 이미 넘어섰고, 1일 오전 11시 기준으로는 50만4000여 명의 동의를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윤석열 당선자 측이 대통령 집무실 이전 예산안을 새로 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윤 당선자 측 핵심관계자는 “(청와대 측은) 예산안을 새로 만들면 (예비비를) 협조해주겠다는 것”이라며 “현재 (인수위 내)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에서 예산안을 새로 짜고 있다”고 밝혔다.

동아일보는 이에 대해 “지난달 28일 청와대 회동에서 ‘정확한 이전 계획에 따른 예산을 면밀히 살펴 협조하겠다’란 문재인 대통령의 뜻을 존중하겠다는 취지로, 예비비 지원을 받아 이전 일정을 하루라도 앞당겨 보겠다는 계산도 깔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 과정에서 윤 당선인이 집무실 용산 이전 계획을 발표하며 밝혔던 496억 원의 예산안도 달라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