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차량 따라다닌다는데 표적 알려주며 작전계획까지 안내할 모양”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청와대 지하벙커(국가위기관리센터)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용 지휘소인 ‘국가지도통신차량’을 활용할 것으로 전해졌다.
24일 YTN, 한겨레 등에 따르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통의동 집무실을 사용하면 청와대 지하벙커를 임시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고 보고하자 윤 당선자는 다른 대책을 요구했다.
윤 당선자는 “청와대 벙커 사용 말고 다른 대책은 없냐”고 물으며 “한톨도 남기지 말고 청와대를 국민에게 돌려주라”고 했다고 한다.
이에 인수위는 이른바 ‘이동식 벙커’인 국가지도통신차량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차 안에 통신망과 재난안전관리망, 화상회의 시스템까지 모두 갖춰져 있으며 비상 상황시 화상을 통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 수 있다는 것이다.
통의동 집무실 근처에 상시 대기해두고 서초동 자택에서 통의동까지 출퇴근시에도 같이 이동하겠다는 구상이다.
김용현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부팀장(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은 YTN에 “사저에서 쉬다가 상황이 발생하면 국방부까지 오기 늦다”며 “그러면 (이동식 지휘) 차량에서 NSC를 주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용현 부팀장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청와대 지하벙커는 계속 사용하는가’라는 질문에 “아니다”고 했다. 그는 “통의동 집무실에 국가지휘통신차량(국가지도통신차량)을 마련해뒀다”며 “현 정부도 운영 중인 차량이다. 통의동 집무실 지하에 배치해 운영하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가지도통신차량을 이용해서 NSC를 주재할 수도 있다”며 “차량 안에 화상체계, 재난안전통신망, 유무선 전화가 다 (설치)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군사전문가인 김종대 전 정의당 의원은 “이 자들이 아예 기밀을 만천하에 공개할 모양”이라고 우려했다.
김 전 의원은 25일 페이스북에서 “더 심각한 문제는 국가지도통신차량이 서초동 대통령 자택과 통의동 집무실을 오가는 대통령 차량 뒤에서 따라다닌다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국방부 지하 벙커의 위치까지 설명하던 당선자나 TF (부팀)장의 경거망동을 계속 봐야 하는 건 참을 수 없는 고통”이라며 “오늘은 그 차량에 뭐가 설치되었는지 자랑까지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적대 세력에게 아예 ‘여기가 표적이다’라는 걸 알려주며 작전계획까지 안내할 모양”이라며 “앞으로 다른 국정 과제도 이런 식으로 처리할 거다. 공포가 밀려온다”고 우려했다.
또 국가지도통신차량 활용 구상에 대해 김 전 의원은 “대체가 불가능한 국내 유일의 종합적 정보망이 갖춰진 초현대식 벙커를 바로 5분 거리의 옆에 두고 비좁은 차량 안에서 화상회의나 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5월 10일 청와대 개방’에 대해서도 김 전 의원은 “청와대 경내에는 유사시를 대비한 차단시설과 특수장비가 즐비한데 이 모든 걸 불능화하고 비군사화하고 철거해야 한다”며 “위기관리센터 역시 첨단 정보시스템과 특수장비, 랜선을 모두 제거해야 한다”고 우려했다.
그는 “북한이 매일 미사일을 쏘는 마당에 5월 10일 이전에 철거하라면 우리나라 위기관리는 무너진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