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보도…농심측 “사실 아니다”
남양유업 사태로 대리점 강매가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국내 라면업계 1위인 농심에서 본사 직원이 직접 도매시장에 싼 값에 물건을 넘기는 ‘삥처리’를 한 뒤 그 피해액을 대리점에 전가하는 행태가 있었다는 녹취록이 공개됐다.
'YTN'이 14일 공개한 녹취록에는 농심 본사 영업사원과 대리점 주인이 나눈 대화가 담겼다.
녹취록에서 대리점 주인은 “말 한마디 없이 (삥을 쳐?) 이건 아니잖아”라고 말했고, 이에 농심 본사 직원은 “네, 미안합니다”고 답했다. 이어 대리점 주인은 “내가 평균에 못 미치지 않았잖아. 근데 왜 중간에 삥을 날린거야?”라고 강한 불만을 터뜨렸다.
대리점 주인은 또, “나한테 어떻게 해 줄건데?”라고 물었고, 농심 본사 직원은 “내가 6% 지원해 줄게요”라고 말했다.
대리점은 제품을 받아보지도 못했지만 손해는 떠안고 있다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이같은 ‘삥처리 후 피해액 대리점 전가’ 행태가 한두 번이 아니었다는 점도 드러났다. 녹취록에서 대리점 주인은 “말로만 지원해준다고 하고 저번 달 것도 안 줬잖아”라고 말했고, 본사 직원은 “네, 알고 있습니다”고 답했다.
대리점 주인 외에 도매상인들 역시 농심 본사 직원이 앞장서 삥처리를 했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모습을 보였다. 청량리의 한 도매상인은 'YTN‘에 “담당도 자기 실적이 있는데 회사 월급 받는데 자기 관할 대리점에 못 팔면 자기한테도 지장이 있으니까 담당들이 앞장서서 팔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리점주들은 자체 삥처리에다 이런 영업 피해까지 겹쳐 극심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한 농심 대리점주는 ‘YTN'에 “"말 그대로 회사는 살고 대리점은 죽으라는 목표치가 많았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남양유업의 밀어내기 강매 사태 이후 감시가 있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 농심 대리점주는 “남양 사태 발생했을 때 저희에게 공정위에서 전화가 왔냐, 기자가 전화가 왔냐. 이런걸 물어봤다. 그래서 아니 안 왔다. 무슨 일이냐, 왜 그러냐”고 말했다.
한편, 농심측은 모든 사실을 부인하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 농심관계자는 ‘YTN'에 “목표를 강제 할당하고 그런 게 전혀 없습니다. '삥처리' 하고 강요하거나 하는 사례는 전혀 없습니다”고 말했다.
또한, “반품은 진짜 깨끗해요. 반품 다 하는 데는 진짜 없어요. 물건이 없어서 발주 수량도 못 맞춰요. 물건 밀어내고 그런 게 어딨어”라고 부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