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법 개정없이 예산안 처리한다면 촛불 개혁정신 국회서 사라질 것”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예산안 합의에 대해 7일 “양당은 선거제도 개혁에 관심은 없고 자신들의 세비만 올렸다”고 비판했다.
단식농성 2일째인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긴급 상무위·의원단 연석회의에서 “야3당이 밥그릇을 챙긴다고 했던 바로 그 순간, 거대 양당은 자기들 밥그릇을 알뜰하게 챙긴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전날 두 당이 합의한 2019년 예산안에는 국회의원 세비를 전년도에 비해 1.8%p 올리는 내용도 포함됐다. 내년도 공무원 평균 인상률과 같은 수준이다.
관련해 바른미래당은 지난 4일 소속 의원 전원이 공무원 보수 인상에 따른 세비 인상분을 기부 형식으로 반환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김수민 원내대변인은 “2019년도 공무원 보수가 금년 대비 1.8% 인상된다”며 “이에 따라 국회의원 1명이 받는 세비도 연간 약 200만원 늘었다”고 브리핑했다.
김관영 원내대표도 전날 JTBC와의 인터뷰에서 “1.8% 증가된 것은 맞다”며 “다만 바른미래당 의원들 30명은 내년 세비 인상분을 이미 반납하기로 결정한 바가 있다”고 말했다.
전날 합의한 예산안에 대해 이 대표는 “국회법 어디에도 근거가 없는 예결특위 소소위에서는 마음대로 예산을 결정하더니 지역 SOC 예산만 늘어났다”며 “서로 지역구 챙겨주는 짬짜미가 과연 없었겠는가”라고 말했다.
또 이 대표는 “야3당이 예산심의에서 빠진 동안 양당은 내년도 국회의원 세비를 1.8% 올렸다”며 “야3당은 세비를 깎아서라도 의원 정수를 늘려 좋은 선거제도로 개혁하자는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개혁은 관심 없고 세비만 올렸다”며 “거대 양당은 자기들 밥그릇을 알뜰하게 챙긴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심지어 여당 원내대표는 ‘선거제도 개혁이 국회의원의 밥그릇을 지키는 것’이라는 아연실색할 주장을 내놨다”며 “승자독식 선거제도에 취해서 기득권을 독점하기 위해 자신의 뿌리인 두 대통령의 뜻을 부정하고, 문재인 대통령마저 궁지에 몰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합의 내용에 대해서도 이 대표는 “‘개혁 후퇴’ 예산”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임기 내 공무원을 17만 명 늘리기로 했지만 올해만 해도 계획된 인원에서 3천명이 감원됐고, 고용 절벽을 해소할 일자리 예산은 6천억 원, 평화번영시대에 필요한 남북협력기금은 1천억 원이 감액됐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양당은 기득권 지키기를 위한 야합을 중단하라”며 “선거법 개정 없이 예산안을 단독 처리한다면, 촛불이 요청한 개혁정신은 국회에서 영원히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대표는 “특히 민주화 이후 30년 만에 찾아온 정치개혁의 기회를 걷어찬 민주당은 ‘20년 집권’은커녕 탐욕의 대가를 분명하게 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신뢰도 1%대 국회 때문에... 심상정은 “벙어리로 산다”
- 정의당 “문 의장 ‘월급깎아 의석수 늘리는 연동형 비례제’에 공감”
- 이상돈 “한국·바른미래 개헌론, 내홍 눈가림용…의미없다”
- 김성태 “文정부 개헌 안하려는 거냐”…정청래 “참 얼굴 두껍다”
- 유시민 “이런식이면 총선도 몰살”…박형준 “선거구제 개편, 한국당이 다급”
- 안민석 “개헌안 폐기…홍준표·안철수·유승민 변명할 자격도 없어”
- 임지봉 “국회, 개헌안 24일 넘기면 위헌행위·직무유기”
- 문대통령 “심의 한번없이 개헌 무산…‘비상식 정치’ 이해 안돼”
- 우상호 “핵심은 의원수 확대 문제…5당이 같이 국민 설득해야”
- 김관영 “소소위서 상당한 예산 증액 담합…바른미래당 마지막에 빠져”
- 야3당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하라” 무기한 농성 돌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