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 밝혀지는 것 두려워하는 방증…표현 자유 보장하라”
언론개혁시민연대(이하 언론연대) 국방부가 ‘천안함 프로젝트’ 다큐 영화에 대한 상영금지 가처분신청을 검토하고 있는 것에 대해 1일 “소통을 막는 행위 자체가 진실을 외면하고 진실이 밝혀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방증”이라고 경고했다.
언론연대는 이날 논평을 내고 “표현의 자유는 최대한 보장되고 허용되어야 한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언론연대는 “‘천안함 프로젝트’는 그동안 언론에서 다루어졌던 천안함 침몰에 대한 의혹들을 알기 쉽게 해양 전문가의 인터뷰와 법정에서의 증언, 참고 사진과 자료 영상들을 통해 풀어낸다”고 설명했다.
또 “이 영화는 마지막 장면에서 “소통은 ‘합리적 의심’을 받아들이면서 출발한다”는 철학자 김성환씨의 진단을 소개한다”면서 “정부의 결론에 문제를 제기하면 ‘종북주의’로 몰아세우는 일련의 과정은 정부와 우리 사회의 ‘소통의 부재’를 보여준다고 결론을 맺어, 소통 없는 우리사회를 다시 돌아보게 한다”고 평가했다.
언론연대는 “‘천안함 프로젝트’는 누구나 한번쯤은 가져보는 의문을 전문가와 재판과정의 증언, 자료화면을 통해 영화화한 것”이라면서 “대다수 언론에 공개된 사실들을 근거로 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런 다큐영화를 군 당국이 일반인에 대한 상영 자제를 요청하고, 상영금지 가처분을 검토한다는 것은 지나치게 예민한 반응”이라며 “영화를 보고 소통하고 토론하면서 시민의식은 성숙되고 진실은 세월이 가면 저절로 밝혀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국방부는 전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천안함 폭침 사건의 원인이 좌초이니 충돌이니 주장하는 것은 우리 국민의 혼란만 초래하게 된다”며 “상영하는 것에 대해 고심을 해주시면 고맙겠다”고 상영 중지를 요구했다.
김 대변인은 “천안함 폭침 사건은 북한 잠수정의 어뢰공격으로 침몰됐고 우리 장병 46명이 희생됐다”며 “이런 결론은 민, 군 합동 조사단을 비롯해서 미국, 영국, 호주, 스웨덴, 러시아까지 다국적 조사단으로 참여해서 과학적으로, 객관적으로 조사 검증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천안함 프로젝트’는 2010년 발생한 천안함 침몰 사건이 북한 소행이라는 정부의 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지난달 27일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처음으로 공개됐으며 ‘부러진 화살’, ‘남영동 1985’의 정지영 감독이 제작을 맡고 백승우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영화 상영으로 천안함 문제가 다시 불거지자 해군은 천안함재단, 천안함유가족협회와 함께 영화가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군의 명예를 훼손하는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