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우용 “특혜를 절약인줄 아는 무식‧비루‧저질 권력자들”
이른바 ‘황제테니스’ 논란에 휩싸여있는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비판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특히, 지난 2월 ‘북핵위기’ 당시 대통령 비서실이 실내테니스장 사용가능여부에 대한 협조요청 전화를 걸었으며 테니스장 사용요금도 덜 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비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SNS 상에는 “가카의 꼼수는 한이 없어라”(@worlde*****), “미안치도 않나?”(@baik*****), “대단하다 대단해!!!”(@phot****), “권력자나 재벌들에게 조국은 없다”(@sunb****), “참 꼼꼼하기 그지 없군요”(@Yan****), “새삼스럽지도 않아요”(@All****), “임기끝나도 정신못차리네”(@hide9*****), “가카를 잊고 있었다!”(@quick*******) 등의 반응들이 이어졌다.
아울러 “국민에겐 공포와 위기감을 조성해놓고 본인은 유유자적이라”(@kunwo*****), “이 분이 도대체 뭘까요?”(@areumda****) 등의 글도 올라왔다.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DrPyo)는 “드릴 말씀이 이것밖엔...‘여기서 이러시면 안됩니다. 여긴 분단된, 하지만 민주주의가 원칙인 대한민국입니다’”라는 글을 남겼다.
선대인 선대인경제연구소장(@kennedian3)은 “우리는 쉽게 이해하는 것에 더 잘 분노하는 경향이 있다. 이명박의 황제테니스, 분명 분노할 일”이라며 “하지만 감세정책과 인위적 고환율, 부채 조장 등 그가 했던 경제정책은 수억 배쯤 더 나쁜 짓”이라고 꼬집었다.
역사학자이자 파워 트위터리안인 전우용 씨(@histopian)는 “직위를 악용해 특혜를 누리는 걸 ‘절약’인 줄 아는 무식하고 비루한 저질 권력자들도, 우리나라에 참 많습니다”라고 독설을 퍼부었다.
박 의원은 “한국체육산업개발(주)이 제출한 온라인 예약시스템 차단기록에 의하면 2월 27일부터 4월 17일까지 매주 수요일 마다 하루도 거르지 않고 오후 3시부터 6시까지 3시간 동안 5번 코트 예약시스템을 완전 차단하여 일반인들의 예약 자체를 원천봉쇄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주말 코트당 1시간 이용요금은 2만 5000원이다. 따라서 이 전 대통령이 결제해야 할 요금은 12만 5000원”이라며 “그러나 한국체육산업개발이 제출한 ‘이명박 전 대통령 실내테니스 이용현황 및 결제내역’ 자료에 의하면 3시간 이용요금에 해당하는 7만 5000원만 결제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한국체육산업개발 측은 전 대통령의 의전상 실제 이용시간 전후 1시간은 관리 시간으로 빼어놓은 것이라고 밝혔지만 한국체육산업개발 측이 스스로 알아서 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이 전 대통령 측이 사전에 그렇게 하도록 원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의구심을 나타냈다.
또한, 박 의원은 “한국체육산업개발 황 모 사업운영실장은 2월 15일 전후에 이명박 대통령 비서실로부터 실내테니스장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협조 요청 전화를 직접 받았다고 밝혔다”며 “북한의 핵 실험으로 인해 국민들이 불안에 떨고 청와대 지하벙커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소집되는 등 온 나라가 급속히 북핵위기로 빨려 들어가고 있을 때 대통령과 비서실은 한가하게 퇴임 후 테니스 구상을 하고 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협조 요청 전화를 받은 사업운영실장은 곧바로 담당 팀장과 과장을 불러 가능여부를 확인하고, 사장에게 보고한 후 청와대 비서실에 ‘테니스장 이용이 가능하도록 편의를 봐주겠다’고 통보했다고 밝혔다”고 언급했다.
박 의원은 “재임 시절 국민위에 군림하던 특권의식을 여전히 버리지 못한 것”이라며 “국가안보위기 상황에서 한가하게 퇴임 후 테니스 구상을 했다는 것이 한심스럽다. 핵 위기 당시 골프를 쳐 물의를 빚었던 장성들과 무엇이 다른지 모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 <한겨레>는 22일자 사설을 통해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자세는 자숙과 근신”이라며 “본인은 억울할지 모르겠지만 이 전 대통령을 바라보는 국민의 눈길은 대체로 매우 싸늘한 편”이라고 충고했다.
이 신문은 “이 전 대통령 쪽은 ‘테니스 장에 확인했더니 예약이 가능하다고 해서 사용료를 내고 쳤을 뿐 전산조작은 전혀 모르는 일’이라고 해명했으나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격”이라며 “테니스 동호인들이 붐비는 토요일 아침에 ‘나홀로 테니스’를 치는 것이 얼마나 비정상적인지 모를 리 없다”고 꼬집었다.
또한, “이 전 대통령은 재임 때 ‘우리 국민은 불과 40마일 밖에 장사포로 무장한 북한이 있다는 것을 잊고 산다’, ‘안보의식이 해이된 것은 사회적 환경이 만든 측면도 크다’는 등 여러 차례 국민들의 안보불감증을 나무랐다”며 “하지만 정작 자신은 남북간 전쟁 위험까지 거론되는 순간에도 꼼수로 황제 테니스나 즐길 궁리를 하고 있었던 셈”이라고 비판했다.
<경향신문>은 전날 사설을 통해 “명실상부한 문민 대통령의 역사가 20년 남짓에 불과하지만 국가 최고 원로로서의 처신을 알아서 챙기는 전직 대통령의 문화는 시간이 아닌 의식의 문제라고 본다”며 “하물며 국민들의 눈총을 사는 것은 보기 민망한 일이다. 이 전 대통령의 자중자애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18일 이 전 대통령의 테니스장 편법 사용 의혹을 보도한 <오마이뉴스>는 20일 “20일 오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실내 테니스장. 이명박 전 대통령은 오지 않았다”며 “그가 없는 5번 코트는 혹시나 예약이 취소됐을까 하는 마음에 아침 일찍 이곳에 들렀던 시민들이 규정에 따른 절차를 거쳐 이용했다”고 전했다.
이 매체는 “보도 당시에는 이미 오늘(20일)까지 (예약신청이) 차단된 상태였지만, 이 차단은 전날인 19일 돌연 해제됐다”며 “이날 코트를 찾은 시민들은 이 전 대통령이 그간 받아온 특혜에 대해 ‘이제는 자연인이니 당연히 같은 조건으로 인터넷 예약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반응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