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 보도…부산저축銀 로비스트 사용 정황 파악하고도 묵살
‘고위층 별장 성접대 의혹’을 수사중인 경찰이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57)이 검찰 간부 시절 차명 휴대전화를 여러 개 사용하며 건설업자 윤모씨(52)와 자주 통화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동아일보>가 18일 보도했다.
‘별장 성접대’ 의혹에 휘말려 취임 6일만에 법무부 차관 사표를 냈던 김 전 차관은 그동안 “윤 씨는 모르는 사람이고 (성접대를 받은 장소로 거론된) 별장에도 간 적이 없다”고 주장해 왔다.
경찰이 윤 씨의 통화 기록과 윤 씨 주변 인물들이 “김 전 차관과 통화할 때 썼던 번호”라며 진술한 전화번호를 분석한 결과 김 전 차관 소유 휴대전화의 번호와는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 일부 번호는 김 전 차관과 오랜 기간 알고 지낸 사업가 A 씨가 제공한 차명 휴대전화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김 전 차관이 윤 씨에게 부적절한 접대를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시기인 2008∼2011년 윤 씨와 통화할 때 이 차명 휴대전화를 사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동아>는 보도했다.
윤 씨의 조카는 지난달 동아일보-채널A 공동취재팀과의 인터뷰에서 “작은아버지(윤 씨)로부터 성관계 동영상 스틸사진을 김 전 차관에게 보내라는 지시를 받고 앞 번호가 ‘010-4157’인 전화로 사진을 보냈다”고 말했다. 경찰은 이 전화번호 역시 김 전 차관의 차명 휴대전화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경찰은 A 씨가 김 전 차관에게 건네준 차명 휴대전화 가운데 일부 번호와 부산저축은행 로비스트 사이에 통화가 이뤄졌다는 정황을 검찰이 파악하고도 문제를 삼지 않았다는 첩보를 입수했다고 <동아>는 보도했다.
지난해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산하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 수사 당시 부산저축은행 비리에 연루된 핵심 로비스트가 자주 통화한 목록에 A씨 명의의 휴대전화가 있었고, A씨는 검찰에서 “김 전 차관에게 제공한 차명 휴대전화”라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고검장급 간부였던 김 전 차관은 별다른 조사를 받지 않았다고 신문은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