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귀족 피의자’ 안하무인 기막혀…혹시 청와대 자작극 아닌가?”
청와대가 언론에 일정이 노출됐다는 이유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특검의 대면조사를 거부할 수 있다고 밝혀 8일 비난이 일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대면조사와 관련해 조율하는 내용은 양쪽이 모두 비공개로 하고 동시에 발표하기로 했는데 특검이 이를 어겼다”고 반발했다.
그러면서 “지금 특검이 이런 식으로 언론 플레이를 하고 있어 특검에 대한 신뢰가 무너졌다”며 대면조사를 거부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말했다.
전날 SBS는 특검이 박 대통령에 대한 대면조사를 9일 청와대 위민관에서 하기로 확정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특검팀은 “대통령 대면조사와 관련한 보도는 특검에서 확인해준 사실이 전혀 없다. 앞으로도 일체 확인 불가하다”며 부인했다.
이에 대해 바른정당 홍문표 최고위원은 8일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김성덕입니다’에서 “박 대통령이 모든 것을 법에 따르겠다는 얘기를 분명히 하시는데 막상 검증이나 자료, 현장의 문제들을 얘기할 때는 국가기밀, 청와대 비밀 등으로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 최고위원은 “대면조사도 지금까지 했던 것으로 보면 대통령 말씀과 현장의 상황은 달라 신뢰할 수 없다”며 이러저러 핑계를 대며 거부할 가능성이 있다고 불신을 보였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SNS에서 “온갖 핑계와 꼼수를 다 써서 조사도 회피, 탄핵절차도 지연시키려 하는군요”라며 “정말 징글징글하다”고 비난했다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는 “청와대가 특검의 ‘언론 플레이’를 문제 삼아 대면조사를 보이콧하려 하고 있다”며 “하지만 해당 언론 보도의 최대 수혜자는 박 대통령이다, 대면조사 거부할 핑계 거리가 생겼으니...”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혹시 청와대의 자작극은 아닌가요?”라고 반문했다.
SNS에서는 “청와대가 온갖 핑계로 억지를 부리고 있구나, 피의자 주제에 무슨 염치로 파렴치한 것들”, “날짜 공개하는 게 뭐? 트집을 넘어 땡깡인 듯”, “국민이 날짜 알게 함은 당연한 거 아닌가”, “압수수색도 거부 대면조사도 거부, 이젠 막나가는 박근혜”, “처음부터 박근혜는 이걸 노리고 대면조사 받을 것처럼 굴다가 비공개를 빌미로 지가 공개해놓고 특검 책임으로 몰고 가려는 작전”, “핑계치고는 궁색하다. 어떻게든 대면조사를 받지 않겠다는 심뽀다”, “그렇지 뭐, 언제는 국민과의 약속을 지켰냐”, “날짜 유출로 대면조사가 어렵다니. ‘귀족 피의자’의 안하무인에 기가 막힐 따름”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