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 靑 민정비서관실, 정윤회 문건유출 수사 회유”

한일 전 경위 “압수된 휴대전화에 최순실 관련 정보 들어 있었다”

‘정윤회 문건 유출’ 수사 때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의 회유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당시 민정비서관은 우병우 전 민정수석이다.

당시 ‘정윤회 문건 유출 사건’의 핵심 피의자였던 한일(46) 전 경위는 10일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문건 유출자로 지목돼 수사 받을 때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의 회유가 있었다”고 말했다.

'비선실세' 의혹을 받은 정윤회 씨가 지난 2015년 1월 19일 오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의 세월호 참사 당일 행적에 의혹을 제기한 일본 산케이(産經)신문 가토 다쓰야 전 서울지국장의 2차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비선실세' 의혹을 받은 정윤회 씨가 지난 2015년 1월 19일 오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의 세월호 참사 당일 행적에 의혹을 제기한 일본 산케이(産經)신문 가토 다쓰야 전 서울지국장의 2차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한 전 경위는 “그해(2014년) 12월8일 오후에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의 P행정관이 연락해와 ‘문건을 (故)최경락 경위에게 넘겼다고 진술하면 불기소도 가능하다’며 협조를 종용했다”고 주장했다.

그 뒤 한 전 경위는 “최경락 경위에게 문건을 넘겼다”고 검찰에서 진술했고, 최 경위는 언론에 이 문건을 제공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았다. 최 경위는 그로부터 닷새 뒤인 13일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 전 경위는 “당시 압수당한 내 휴대전화에는 ‘최순실이 대통령의 개인사를 관장하면서 대한승마협회 등에 갑질을 하고 있다’는 정보가 들어 있었다”고 밝혔다.

한 전 경위는 2년이 지난 뒤에야 이 같은 내용을 털어놓는 이유에 대해 “당시에는 너무 무서웠다. 말단 공무원이 청와대‧검찰과 맞서려고 하니 겁이 났다”며 “끝까지 침묵을 지키면 (최 경위)유서가 거짓말이 되지 않나. 고인에게 예의를 지키고 싶었고 이제는 말을 해도 되겠다는 판단도 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 경위는 스스로 목숨을 끊기 전, 한 전 경위에게 유서를 남겼다. 유서에는 “너무 힘들어 하지 마라. 나는 너를 이해한다. 민정비서관실에서 너에게 그런 제의가 들어오면 당연히 흔들리는 것은 나도 마찬가지일 것이다”고 전했다.

최 경위는 그러면서 “이제 내가 이런 선택을 하게 된 것은 너와 나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회사차원의 문제”라며 “이제라도 우리 회사의 명예를 지키고 싶어 이런 결정을 한다”고 덧붙였다.

가족회사 '정강' 공금 유용 등 각종 비위 의혹이 제기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7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를 받은 뒤 귀가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가족회사 '정강' 공금 유용 등 각종 비위 의혹이 제기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7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를 받은 뒤 귀가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중앙>은 “당시 민정비서관은 우병우 전 민정수석으로, 그는 이 사건을 수습한 뒤 수석이 됐다”고 상기시키며, “문건 수사 당시 검찰과 민정비서관실에서 이러한 최씨 비리 관련 정보를 입수하고도 묵인했다면 직무유기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런가하면 11일 <한겨레>는 “우병우 전 민정수석이 10월 중순께 당시 언론 보도 등을 통해 불거진 차은택 감독의 비위 행위에 대한 청와대 홍보수석실의 조사 내용을 보고 받은 것을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당시 홍보수석실은 10월21일로 예정된 청와대 국정감사를 앞두고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 등을 통해 차씨와 접촉해 상황을 파악한 뒤 우 전 수석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직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한겨레>에 “우 전 수석이 홍보수석실의 조사 내용에 대해 ‘별거 없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한겨레>의 이 같은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전면 부인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검찰이) 수사 중인 상황에서 홍보수석실이 조사를 할 수는 없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송성각 전 콘텐츠진흥원장과의 접촉 여부에 대해서도 “검찰에서 조사하고 있으니 검찰 조사로 나올 것”이라며 “홍보수석실에서 조사를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