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후쿠시마 남일아냐, 정부 ‘원전 올인’ 재검토하라”

SNS “수많은 경고 무시해 후쿠시마 터져…‘탈원전’ 즉각 실천해야”

일본 대지진 전후 모습   일본 도쿄(東京)대학 지진연구소 스지 요시노부 교수가 공개한 해안도시를 폐허로 만든 38m 쓰나미 사진. 쓰나미 피해가 컸던 이와테현 미야코시 다로지구 항구의 쓰나미 전후 사진. 왼쪽 하단부의 소나무 숲(사진 위)이 쓰나미 이후 완전히 사라져(사진 아래) 쓰나미의 규모를 짐작케 한다. <사진=건국대 제공, 뉴시스>
일본 대지진 전후 모습 일본 도쿄(東京)대학 지진연구소 스지 요시노부 교수가 공개한 해안도시를 폐허로 만든 38m 쓰나미 사진. 쓰나미 피해가 컸던 이와테현 미야코시 다로지구 항구의 쓰나미 전후 사진. 왼쪽 하단부의 소나무 숲(사진 위)이 쓰나미 이후 완전히 사라져(사진 아래) 쓰나미의 규모를 짐작케 한다. <사진=건국대 제공,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은 경주 지진사태에 대해 13일 “정부의 ‘원전 올인’ 정책은 재검토 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동민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이번 지진은 세계 최대의 원전밀집지인 양산 단층대에서 발생했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기 대변인은 “정부는 반대 여론을 무릅쓰고 신고리 원전 5, 6호기를 또 짓기로 했다, 다중수호기 안전성 평가와 주민의견 수렴도 없었다”며 ““설마 별일 있겠어?”란 안이한 사고로는 “제2의 한반도 후쿠시마 사태”를 막을 수 없다”고 강력 경고했다.

또 정부의 대응에 대해 기 대변인은 “국민안전처 홈페이지는 먹통이 됐다. 재난 문자는 10분 이상 늦게 발송됐고, 이마저도 날짜가 틀린 채 보내졌다”며 “뒷북·오타 문자와 늑장대응에 국민들 복장만 터졌다”고 비판했다.

기 대변인은 “국민안전처가 아닌 ‘국민재난처’로 비판받아도 할 말이 없다”면서 “부서 명칭에 맞게 지진, 폭염 그리고 다가올 태풍 등 국민 재난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기 대변인은 “후쿠시마 원전 사태를 반면교사로, 독일의 ‘탈 원전 2022 로드맵’을 모범으로 삼아 탈 원전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며 “이젠 지진을 변수가 아닌 상수로 두고 국가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뜯어고쳐야 할 때”라고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했다.

한겨레신문 13일자 1면 <온 나라가 흔들렸다…‘지진 공포’ 현실로> ⓒ 한겨레신문PDF
한겨레신문 13일자 1면 <온 나라가 흔들렸다…‘지진 공포’ 현실로> ⓒ 한겨레신문PDF

SNS에서도 이번 지진으로 원전 사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경주의 초강력 지진. 만의 하나 고리와 월성 원전에서 사고가 나는 상황을 생각하니, 끔찍하다”며 “영남 전체가 초토화된다. 단계적 탈원전 계획 수립과 즉각적 실천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심용환 역사&교육연구소 소장은 “그저 단순히 위험한 게 아니다. 경주는 핵폐기물 처리 시설이 들어온 곳 아닌가”라며 “더구나 지반이 약하다는 것 역시 수차례 지적되었다”고 우려했다.

심 소장은 “무섭고 위험한 것을 넘어 후쿠시마 같은 대재앙이 일어날 수도 있단 말이다”며 “거의 모든 일들은 어느 날 갑자기 닥쳐오는 경우가 없다. 거듭 거듭 경고하고, 또 경고하고..”라고 지적했다.

심 소장은 “그 모든 것을 무시하고 또 무시했을 때 걷잡을 수 없는 일이 벌어진다”면서 “핵 문제. 이제는 중요한 국가 의제로 정착시켜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