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두 달 지나 진행된 檢 형식적 수사 못 믿어…특검으로 수사해야”
‘전경련 예산 우회 지원’과 ‘청와대 관제 시위’ 의혹을 받고 있는 어버이연합 추선희 사무총장이 16시간 동안 검찰 조사를 받고 25일 새벽 귀가했다.
<뉴시스> 등에 따르면 추 사무총장은 검찰 조사 직후 ‘지금까지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 인정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인정한 거 없다”고 말했다.
검찰은 추 사무총장을 상대로 전경련 자금을 지원받은 경위와 이 돈을 세월호 관련 집회에 동원된 참가자들에게 지출한 이유 등을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추 사무총장은 기자들에게 전경련 돈이라는 것을 몰랐다고 답한 뒤 급히 자리를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추선희 사무총장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의 ‘어버이연합 진상조사 TF’ 간사를 맡고 있는 박범계 의원은 “검찰 조사 받은 추선희 어버이연합, 전경련 자금인줄 몰랐다고.. 제대로 걸린듯 하네요”라며 “오히려 받을 자격 있다고 큰소리 칠 줄 알았는데요. 인정하면 죄가 되니까 부인하는 거아니겠냐”고 꼬집었다.
TF 소속 백혜련 의원도 “예상됐던 답변. 이제 시작입니다”라며 진상조사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추선희 사무총장 소환은 수사 착수 두 달여 만에 이뤄졌다. 검찰은 ‘어버이연합 게이트’와 관련해 새로운 사실과 의혹들이 터져 나오는 상황에서도 수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 ‘청와대 눈치보기’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서주호 정의당 서울시당 사무처장은 “두 달이 넘어서 진행된 형식적 검찰 수사 믿을 수 있냐”면서 “반드시 특검으로 수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검찰은 추 사무총장에 대한 조사 내용을 검토한 뒤 시민단체들에 의해 함께 고발된 전경련 허창수 회장과 허현준 청와대 행정관 등에 대한 소환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 추선희 “시민단체가 시민단체 지원, 법적하자 없다”…그럼 왜 차명계좌로 받았나
- 검찰, 한상균에 8년 구형…“어버이연합은? 홍만표 구형 지켜볼 것”
- ‘靑 관제데모 의혹’ 어버이연합 집회는 경찰 모두 허용
- 추선희 등장 “檢에 다 말할 것, 깜짝 놀랄 것”…SNS “시나리오 다 짰나”
- 추선희 ‘어버이연합 풍자영상’ 유병재 고소…“검찰도 못찾았던 추선희를..”
- “MB때 ‘어버이연합 박원순 집회 지시’ 국정원 직원, 朴정권때 청와대 근무”
- 어버이연합측 “靑행정관이 JTBC에도 가라했다”…“언론장악 청문회 실시하라”
- 최민희 “추선희, 청와대 출입기록 자료 요청”…추, 5일째 잠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