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정대협=종북, 허 행정관 개인 발언”…개인 일탈로 꼬리 자르기?

“靑 선임행정관, 매일 보고서 작성 ‘윗선’에 제출…허 행정관 단독행동이었을까?”

‘한일 위안부 합의 지지 집회’와 관련, 어버이연합과 청와대가 “협의했다”는 증언까지 나왔지만 청와대는 이를 부인, 허현준 행정관의 개인일탈로 치부해 꼬리자르기 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다.

어버이연합 추선희 사무총장은 지난 22일 JTBC<뉴스룸>에 출연해 ‘청와대 배후설’에 대해
“지시가 아니다. (아는 사람이니까) 우리는 협의를 했다”고 말했다.

추 사무총장은 “(허 행정관이)정대협이 종북 성향이 있으니까 그것에 대해서 얘기를 하지만 이거는 한일관계이기 때문에 나는 수요집회 때 나가서 우리가 아베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앞서 같은 날 <시사저널>은 추 사무총장이 “허 행정관이 한일 ‘위안부’ 합의안 체결과 관련한 집회를 월요일(1월4일)에 열어달라고 문자메시지를 보냈다”면서 “우리(어버이연합)는 월요일보다 ‘위안부’ 수요집회가 있는 수요일(1월6일)에 집회를 갖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서 이를 따르지 않았다. 월요일에는 다른 단체가 집회를 가졌고 우리는 수요일에 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미지출처=JTBC 방송화면 캡처>
<이미지출처=JTBC 방송화면 캡처>

하지만 청와대는 어버이연합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집회 지시는 없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25일 <노컷뉴스> 등에 따르면, 정연국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허 행정관은 집회를 지시한 적이 없다고 분명히 얘기하고 있다”며 “그래서 (의혹을 보도한 시사저널에) 정정보도 청구와 민형사 소송을 냈다”고 밝혔다.

또 “상대방(어버이연합)도 지시가 없었다고 얘기하고 있다”며 “청와대로서는 더 밝힐 입장이 없다”고 말했다.

추 사무총장이 <JTBC>와의 인터뷰에서 ‘허 행정관이 정대협을 종북단체로 지칭했다’고 밝힌데 대해서 정 대변인은 “행정관 개인의 말에 대해서는 따로 할 말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사진제공=뉴시스>
<사진제공=뉴시스>

한편, <경향신문>은 “윗선 보고 가능성·전경련 영향력…허 행정관 ‘단독 행동’ 의문”이란 제목의 25일자 기사에서 “추 사무총장과 집회를 논의한 것이 허 행정관의 ‘단독 행동’이었는지 의문”이라며 “청와대 선임행정관은 매일 보고서를 만들어 ‘윗선’에 제출하고 수시로 비서관 등과 상의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민소통비서관실 소속으로 각종 시민단체 담당으로 허 행정관이 제대로 업무를 수행했다면 당시 여론 추이를 직접 파악하고 대처 방안 등을 윗선에 보고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당시 허 행정관의 보고 계통은 정관주 국민소통비서관(현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 현기환 정무수석비서관 등 이었다.

네티즌들도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김남훈 스포츠 해설위원은 지난 23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청와대는 행정관의 개인일탈로 정리하며 거리를 둘 것이고 전경련은 자금지원을 중단. 내부에선 돈 문제가 수면 위로 부상. 여기에 언론의 감시와 검찰의 수사까지. 아마 어버이연합은 곧 수명을 다할 듯”이라고 예상 했다.

서주호 정의당 사무처장도 “갑자기 사표 수리하고 어버이연합-전경련-청와대 형식적 수사하고 개인적 일탈로 마무리 할 생각?”이냐며 “국정조사와 특검 등으로 진상 밝혀야”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