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회찬 “사과한다면서 ‘더는 사과 않겠다’는 놈이나 그런 걸 합의해준 놈이나…”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한일 양국간 ‘위안부’ 협상 타결 이후 ‘위안부’ 문제에 대해 더 이상 사죄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30일 <산케이>는 아베 총리가 “앞으로 (한국과의 관계에서) 이 문제(일본군 위안부)에 관해 전혀 말하지 않겠다. 다음 일‧한 정상회담에서도 더 언급하지 않겠다”고 주변에 밝혔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또 아베 총리가 “그것은 (박근혜 대통령과의) 전화 회담에서도 말해뒀다”면서 “어제로써(28일) 모두 끝이다. 더 사죄도 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특히 아베 총리는 “이번에는 한국 외교장관이 TV 카메라 앞에서 불가역적이라고 말했고 그것을 미국이 평가한다는 프로세스를 밟았다”면서 “지금까지 한국이 움직여 온 골대를 고정화시켜 간다는 것”이라고 쐐기를 박았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는 “이렇게까지 한 이상 약속을 어기면 한국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끝난다”는 견해를 밝혔다고 <산케이>는 전했다.
일본 언론을 통해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노회찬 전 정의당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사과한다면서 ‘더 이상 사과하지 않겠다’는 놈이나 사과 받는다면서 그런 걸 합의해준 놈이나 인간이 덜 되기는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노 전 대표는 “이런 자들은 사랑한다고 고백할 때도 ‘앞으로 다시는 사랑한다고 말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모양이다. 그리고선 ‘불가역적 프로포즈’했다고 자랑하는 모양이다”면서 “진실한 사람들은 확실히 다르다”고 비꼬았다.
한편, 같은날 <요미우리> 신문은 일본 정부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의료 지원 등을 위해 10억엔(약 97억원)을 내기 전에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소녀상’을 철거하는데 대해 한국 정부가 이해를 표시했다고 보도했다.
<아사히> 신문도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 일본 정부가 소녀상 이전이 돈을 내는 전제가 되고 있다는데 대해 한국과 내밀하게 확인했다고 전했다.
아베 총리가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 관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상의 보고를 받은 후 “합의된 것은 확실히 팔로우업 해야 한다”고 지시한 것은 소녀상 이전 문제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아사히>는 분석했다.
일본의 이 같은 태도에 대해 네티즌들은 “성폭행범이 도리어 피해자를 협박하는 상황”이라는 등 분통을 터트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