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선주자 새누리 김무성 대표도 지지도 하락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 파문이 거센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급락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16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13~15일 전국 성인 1,003명에게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수행도를 조사한 결과 전주보다 4%포인트 하락한 43%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평가는 3%포인트 늘어난 44%를 기록했다.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지른 것은 8·25 남북합의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13%는 의견을 유보했다.
박 대통령에 대한 직무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그 이유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14%)’를 꼽았다. 그 뒤로 ‘국정운영이 원활하지 않다(13%)’, ‘소통 미흡(12%)’, ‘독선·독단적(11%)’, ‘경제정책(10%)’ 등으로 조사됐다.
<한국갤럽>은 “이번 주 대통령 직무 긍정률 하락의 주요 원인은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방침 공식 발표라 할 수 있다”며 “부정 평가 이유에서 국정화가 14%로 큰 비중을 차지했고 지난 주에 비해 응답이 늘어난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 ‘독선/독단적’등도 교과서 국정화와 무관치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정당지지율로는 새누리당이 전주보다 1%포인트 하락한 40%, 새정치민주연합은 전주보다 1%포인트 상승한 22%를 기록했다. 정의당 5%, 기타 정당 1%, 없음·의견유보 32%였다.
한편,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에서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14%로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13%),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11%), 안철수 의원(9%), 오세훈 전 서울시장(8%),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장(3%), 유승민 의원(3%), 이재명 성남시장(2%) 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표본을 무작위 추출해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19%(총 통화 5천225명 중 1천3명 응답 완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