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새 역사 교육과정 독립운동사 대폭 축소 논란

친일사 배제·임시정부 축소.. 네티즌 “친일에서 아직 독립 아냐”

교육부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최종 고시안에 중등 한국사 과목에 뉴라이트 사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22일 <한겨레>와 <한국일보>에 따르면, 새정치민주연합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특별위원회’(위원장 도종환 의원)가 ‘2015 역사과 교육과정’에 대해 역사교사모임과 역사전문가들에게 분석을 의뢰한 결과, 중·고등학생이 배울 한국사 과목에서 임시정부 및 독립운동사가 대폭 축소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출처 = KBS1>
<이미지출처 = KBS1>

먼저 2009년 역사과 교육과정에 포함됐던 ‘3.1운동의 전개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이 2015 교육과정에서 삭제됐다. 2009년 교육과정에 집필기준으로 제시됐던 사회주의 계열의 민족운동에 대한 서술도 없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역사교사모임은 “임시정부를 포함한 독립운동의 역사를 대한민국과 무관한 역사라고 강변하는 뉴라이트식 근대사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중·고교 교과서 모두 1948년 8월 15일을 기존에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표기했던 것을 이번 교육과정에는 ‘대한민국 수립’으로 바꾼 것도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는 뉴라이트 역사관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고교 역사의 경우에도 2015 역사과 교육과정은 친일의 역사를 배제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역사교사모임은 “단원 7(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의 1장에 주요 학습 요소로 제시된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가 포함돼 있지만 정작 단원 6(일제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에는 친일의 ‘친’자도 보이지 않는다”며 “친일의 역사는 가르치지 않으면서 해방 이후의 친일 청산을 가르치는 것은 모순”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뉴라이트 사관의 특징 중 하나인 ‘북한 배제’의 원칙도 그대로 적용됐다. 2009 교육과정이 "북한 사회의 변화와 오늘날 북한의 실상을 이해한다"고 명시한 것과 달리 개정안은 북한의 실상과 관련한 내용을 넣지 않아 논란이 예고된다.

<이미지출처 = KBS1>
<이미지출처 = KBS1>
<이미지출처 = KBS1>
<이미지출처 = KBS1>
<이미지출처 = KBS1>
<이미지출처 = KBS1>
<이미지출처 = KBS1>
<이미지출처 = KBS1>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진짜 이게 2015년인가? 내 눈을 의심하게 한다”(su*), “친일파 그 후예들의 세상에서 우리는 아직 독립이 아니다”(오**), “민족반역자와 그 후손들 지금이라도 응징해야 한다”(조선**), “도대체 이 나라의 역사를 부정하는 이유가 뭘까?”(그날***), “이 나라에 미래는 없다”(7회말****), “말세다 말세야”(얄*), “나라를 위해해 충성을 바친다? 이 글귀는 사라질 단어인 듯”(힘*), “이대로라면 역사는 학문이 아닌 정권의 이데올로기 강화를 위한 도구로 전락해 버리고 맙니다”(하얀**) 등의 반응들을 보였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