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경욱 靑 대변인 “결정된 바 없다”.. 中․高 교사 78%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청와대와 교육부가 최근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내부적으로 확정, 추석 전 이를 발표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는 언론 보도가 나와 파장이 예고된다.
9일 <동아일보>에 따르면, 정부 고위 관계자는 “당정청 협의를 통해 역사 교과서 국정화는 사실상 기정사실화됐고, 논란을 줄이기 위해 발표 시점을 조율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당정은 최근 국정화에 반대하는 집회와 성명 등이 잇따르는 점을 감안해 국정화 방침을 서둘러 발표할지, 아니면 연휴를 앞두고 발표해 후폭풍을 줄일지를 저울질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동아>는 정부가 ‘국민 여론을 폭넓게 수용하고 다양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결정하겠다’고 했지만 결과적으로 공론화 과정은 거의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결정 시기가 임박하면서 여당이 나서서 국정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정부가 이를 받아 밀어붙이는 식으로 국정화를 강행하는 형국이 됐다”며 공식 발표 후 반발과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즉답을 피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해당 보도에 대해 기자들에게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한편, 전국 중·고교 사회과 교사 78%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태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전국 중·고교 사회과 교원 2만4195명을 대상으로 ‘한국사 교과서 국정호’ 찬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1만543명 중 8188명(77.7%)가 ‘반대’라고 답했다.
교육감들도 대부분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이 제출받은 교육감 의견서에 따르면, 국정화를 찬성하는 교육감은 김복만 울산교육감 뿐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