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서술 정부가 독점? 대한민국 위상에도 걸맞지 않아”
역사 교사 2천여명의 반대에 이어 서울대학교 역사관련 학과 교수들도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움직임에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반대 입장을 담은 의견서를 교육부장관에게 전달했다.
2일 오수창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와 유용태 역사교육과 교수 등 역사관련 5개 학과 교수 34명은 ‘황우여 교육부 장관님께 드리는 의견서’를 통해 역사 교과서 국정화 정책에 대한 우려와 반대 의견을 밝혔다.
<한국일보> 등에 따르면, 이들은 의견서에서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을 규정한 헌법정신과 합치하지 않는다”며 “역사 교과서 서술을 정부가 독점하는 정책은 민주화와 산업화를 통해 오랜 고난 끝에 이룩한 오늘날 대한민국의 위상에도 걸맞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들은 “주변의 역사 학자 중에서 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는 데 찬성하는 이는 찾아볼 수 없다”며 “지금 우리나라의 역사 교육에 필요한 것은 국정교과서로 제도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역사 교과서 제작의 자율성을 좀 더 널리 허용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똑같은 역사교재로 전국의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은 우리 사회의 역사적 상상력과 문화 창조 역량을 크게 위축시키고 민주주의는 물론 경제 발전에도 장애를 초래할 것”이라며 “현행 검정체제의 역사 교과서들이 서로 다른 내용으로 문제가 된다면 교육과정과 집필기준 등으로 바로잡으면 된다”고 밝혔다.
앞서 전국 중·고교 역사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2천255명도 이날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및 역사과 교육과정 개악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교사들은 “9월 말 교과서 발행체제 최종 고시를 앞둔 현재, 집권당 대표와 교육부 장관이 교대로 한국사의 국정화를 압박하는 발언을 쏟아내는 상황을 목격하고 있다”며 “교육부는 ‘균형 잡힌 교과서’를 강조하고 있지만, 그 진실은 국정 교과서를 통해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거나 희석시키려는 시도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박근혜 정부가 국정 교과서를 발행한다면, 우리는 민주공화국의 진정한 가치를 지키고 실천하기 위해 대대적인 불복종 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친일이 애국으로 바뀔까 두렵다”(경규**), “조만간 친일들의 행적들이 독립운동가로 바뀌겠군”(메**), “일본 역사왜곡 기가 막히지. 우리나라 정권 잡은 자들 하는 것도 마찬가지”(산**), “애국가 좀 새로 만들어 주면 안되나? 만든 이가 골수 친일이라며”(qiz***),
“국정 교과서? 차라리 일본 국사 교과서를 번역해서 써라”(이**), “이게 임시정부의 법통을 잇는 헌법정신에 부합된 대한민국인가요?”(교육**), “역사는 과거가 아니라 현재진행형이다. 작금의 우리나라 현실이 그걸 증명해주고 있지 않나”(막가는*****) 등의 반응들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