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 잡힌 교과서? 친일·독재 미화나 희석 시도임 알고 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국정 역사교과서’ 도입을 거듭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역사교사 2천여명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및 역사과교육과정 개악에 반대한다”며 국정화 포기를 강력 촉구하고 나섰다.
2일 전국역사교사모임은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에 단호히 반대한다」는 제목의 선언을 발표했다. 지난해 10월에 이어 두 번째로 발표된 현장 역사교사 선언에는 2,255명이 함께 했다.
이들은 “정부가 공인한 하나의 역사 해석을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결과를 가져올 국정 교과서는 역사교육의 본질에 정면으로 위배된다”며 “때문에 역사를 국정 교과서 형태로 발행하는 나라는 북한을 제외하고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교육부가 직접 실시한 대국민 여론 조사에서도 중·고등학교 교사의 3분의 2가 국정을 반대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며 “우리는 이것이 여론이고 공론이라고 믿는다. 이 정도 상황이면 교육부는 국정 욕심을 버리고 다양한 검정 교과서가 발행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쪽으로 정책 전환을 해야 상식”이라고 밝혔다.
역사 교사들은 “교육부는 ‘균형 잡힌 교과서’를 강조하고 있지만 그 진실은 국정 교과서를 통해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거나 희석시키려는 시도임을 알고 있다”며 “실질적인 수능 필수과목인 국어, 영어, 수학도 10여 종이 넘는 교과서로 수능을 치루고 있다. 영어와 수학은 검정도 아닌 인정 교과서임을 감안할 때 수능 필수 때문에 국정 교과서가 필요하다는 논리는 억지”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우리 역사교사들은 박근혜 정부가 OECD 선진국 어디에서도 시행하지 않는 국정 교과서 제도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세계화·다문화 시대를 살아갈 민주시민을 기르는데 적합한 역사교육의 방향과 실천 방안을 여러 교육주체들과 진지하게 의논 해주기를 진심으로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역사 교사들은 ▲ 국정화 결정 시 교과서 폐지 운동 돌입 ▲ 2015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 전면 재검토 요구 등을 강조했다.
한편, 이날 김무성 대표는 19대 마지막 정기국회 교섭단체대표연설에서 “우리 현대사를 ‘정의가 패배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한 굴욕의 역사’라고 억지를 부리는 주장은 이 땅에서 반드시 사라져야 한다고 믿는다”며 “중·고교 학생들이 편향된 역사관에 따른 교육으로 혼란 겪지 않도록 국정 역사교과서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교육의 근본은 칭찬이며,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와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긍정의 역사관이 중요한데, 역사관이 곧 미래관이기 때문”이라며 “역사를 통해 미래를 만들어가는 의미에서 자학의 역사관, 부정의 역사관은 절대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