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부터 고교 한국사-근현대사 대폭 축소
2018년도부터 적용되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는 근현대사가 대폭 축소되고 고대사가 늘어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진재관 박사 등 역사 교육 과정 연구팀은 12일 연세대에서 토론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5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을 공개한다. 발표될 시안은 중학교 역사, 고등학교 한국사·동아시아사‧세계사 등 4개 과목이다.
연구진은 한국사 시안에서 현재 근현대사 비중이 과하다는 의견을 반영했다면서 “전근대사와 근현대사의 비중을 5대 5에서 6대 4 비중이 되도록 조정했다”고 밝혔다.
평가원의 이 같은 시안 발표에 3.1운동의 전개과정과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이 빠지거나,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 근현대사에서 ‘민주화’라는 용어는 ‘자유민주주의’로, ‘산업화’도 ‘경제성장’이라는 용어로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산업화 과정에서 생긴 문제점들은 삭제하고, 경제성장의 중요성이 중점적으로 부각되어 서술될 것이라는 우려도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근현대사부분에서 3.1운동 전개과정과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에 관한 내용들은 2009년 교과서 개정 작업에서 추가된 부분이다.
근현대사 비중이 빠지는 대신 고대사 비중은 늘어난다. 삼국시대 서술은 현재 고등학교 교과서의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발전’ 대단원에 포함돼 있지만 ‘고대 국가의 발전’이라는 대주제로 별도로 실린다. 교육부도 한국사 교과서의 근현대사 비중을 줄이는 방안에 긍정적인 입장이다.
시안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정치사 중심으로 구성하되, 정치‧토지제도 등 제도사는 기본적인 내용만 제시하도록 했다. 중학교 역사 교과서 시안의 경우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성을 강화했다.
현재는 한국사와 세계사를 별도로 실은데 반해 새로운 시안에는 한국사영역에 세계사 내용을 통합해서 서술하는 방식으로 바뀌는 것이다.
또 고등학교 세계사 시안은 현재 고대, 중세, 근대라는 시대 구분별 서술을 지양하고 지역 중심으로 기술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에 대해 근현대사 비중 축소는 세계의 역사교육 추세에 반하고, 국가가 교육과정을 통제하려는 의도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세계 역사교육 추세에 역행…정부 의도한 바 있지 않나”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이날 배포한 토론문에서 “세계의 역사 교육 추세는 한결같이 근현대사를 중시하고 있고 역사 교육에서 근현대사가 중시되는 점은 우리가 몸담은 현재와 바로 이어진 시기이기 때문”이라며 근현대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역사정의실천연대 방은희 사무국장도 이날 ‘go발뉴스’와 통화에서 “교육부가 역사교과서에서 근현대사를 줄이는 것에 대해서 교사들의 의견을 들어서 했다는 식으로 이야기를 하지만, 현장에 계시는 선생님들은 근현대사를 줄이는 안에 찬성하는 분들이 별로 없다”며 “전국역사교사 모임도 근현대사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교육부는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교육부에서 의도한 게 있지 않은가 한다”며 “3.1운동의 정신과 전개과정, 대한민국임시정부 법통 계승 부분이 축소되거나 없어지는 부분들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뉴라이트 쪽의 근현대사의 인식을 반영하다 보니까, 논란이 되고 있는 이러한 내용들을 삭제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교육부는 전체적으로 근현대사 부분을 축소하고 쉽게 가르치기 위해서라고 하는데 그렇게 판단되지는 않은 거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는 교과서 국정화 이야기를 하지 않고 있지만, 이런 교육과정들은 국가가 통제하려는 형식이 보여진다”고 덧붙였다.
한편, 역사정의실천연대는 이날 토론회에 참석하고 이후 논평을 낼 방침이다. 또 역사교사모임도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