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가 균형 잡힌 역사 책임지고 가르쳐야…9월까지는 결정 볼 것”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고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를 놓고 “9월까지는 결정을 보겠다”고 강행 방침을 분명히 해 논란이 예상된다.
19일 황우여 부총리는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검·인정을 하다보니까 7가지 교과서로 가르치는데 통일이 안 되어있다. 한국 국민이라면 갖고 있어야 될 기본적인 역사지식을 가르쳐야 하는데 그 부분에 많은 지적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황 부총리는 이어 “국가가 균형 잡힌 올바른 역사를 책임지고 가르쳐야 되는 것 아니냐”면서 국정교과서의 당위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앞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도 미국 순방 등에서 연일 국정교과서에 대한 언급을 해 온 바 있어 황 부총리의 발언은 교과서 국정화 뜻을 분명히 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황 부총리는 지난 4일 <연합뉴스>에도 “여러 의견을 모아서 전문가들과 함께 결론을 내릴 때가 됐다”며 강행 방침을 시사한 바 있다. 그러나 이날 교육과정을 9월에 매듭짓는다면서 시한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국정화 추진 움직임에 역사학계도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하일식 연세대 사학과 교수는 <노컷뉴스>에 “학생들에게 자신들이 선호하는 역사관을 주입해서 먼 장래까지 내다보면서 유리한 정치지형을 조성하려는 의도가 아닌가 의심한다”며 “결국 특정 정치집단의 이익을 관철시키려는 의도로 밖에 생각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역사정의 실천연대도 논평을 통해 “역사와 교육을 입맛대로 해보겠다는 집권세력의 망상이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그 같은 집착은 그 자체로 정권의 정당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반증이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다.
실천연대는 이어 “혹 정권과 하수인들이 반대여론을 무릅쓰고 계속 한국사 교육의 국정화를 감행한다면 이는 반역사적 범죄행위에 다를 바 없다”며 “앞으로 학계와 교육계는 물론 전국민적 저항을 피하지 못할 것임을 경고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