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 재벌 ‘양아치 행태’ 심판 나서야”.. 반(反) 롯데 정서 확산?
롯데그룹 총수 일가의 경영권 다툼이 격화되며 여론도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단체가 롯데그룹 전 계열사에 대한 ‘무기한’ 불매운동을 선포했다.
4일 금융소비자원은 롯데카드, 롯데백화점, 롯데제과 등 롯데 그룹 전 계열사 등에 대한 불매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방침을 밝혔다.
금소원은 “재벌의 양아치 행태에 대한 심판이며 재벌 개혁의 시작인 롯데 불매운동에 소비자가 나서야 한다”며 “‘개인적 치부’ 수단의 재벌 행태에 대한 근본적 개혁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소원은 롯데 사태에 대해 “국내의 재벌이 국가와 국민, 시장과 소비자를 기만한 채 오로지 개인적 치부에만 치중하며 재벌의 사회적 책임이나 공헌 등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제는 재벌로 인한 경제적 폐해 등에 대해 소비자가 나서야할 뿐만 아니라 정부 관련 부처들도 정경유착과 배당, 상속 등 불법 의혹에 대해 수사에 착수, 롯데와 같은 비이성적 재벌 행태가 나타나지 않도록 모든 조치를 다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금소원은 롯데의 관련 그룹사에 대출한 금융회사, 투자한 국민연금 등도 롯데 그룹에 대한 금융의 사회적 책임 실천관점에서 대출과 투자를 재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심도 있는 검토와 평가가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go발뉴스’에 “그 동안 불매운동은 기한을 정하거나 부분적으로 했었는데 재벌 개혁차원에서 무기한으로 불매운동에 돌입 한다”며 “족벌적인 경영으로 인해 국가 경제의 왜곡된 구조들이 결국 국민, 즉 소비자 전체에 피해를 주고 있어 (소비자들이) 나서야 될 시점이라고 본다”고 부연했다.
조 대표는 “불투명한 지배 구조나 족벌식 수단으로 재벌이 운용되고 있는 것은 국내의 큰 문제”라며 “이런 부분에 대해 개혁하고 제대로 된 개선이 없다면 우리나라 내부 갈등 요인도 될 수 있다. 때문에 올바른 자본주의 길이라는 관점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토의되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고 밝혔다.
한편, 네티즌들은 ‘롯데 불매운동’ 소식을 접한 후 “지금 당장 없어져도 한국 경제와 아무 상관이 없는 기업이 롯데다”(oecd****), “한국 핏줄에 한국에서 돈 벌어 먹으면서 한국말도 못하는 재벌이라니. 저도 동참합니다”(wpqk****), “사실상 외국기업이었군”(이추****), “롯데는 일본 기업이 맞고요 소비재로 현금장사하는 것도 맞습니다”(qhde****),
“결국 기업지배구조상 이익에 대해 일본에 세금 내겠네”(getf****), “주주들이 일본인들이면 일본기업이라고 본다. 한국에 빨대만 꽂아놓고 한국에 기여한 것도 없는 기업. 불매운동 동참”(city****) 등의 반응들이 잇따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