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태 중 자화자찬.. 박원순 시장보다 하루 먼저 정보 공개했다?
정부는 7일 오전 메르스 확진환자가 발생하거나 경유한 병원 24곳을 공개했다. 지난달 20일 메르스 첫 발생 18일만이다. 이 자리에서 최경환 국무총리 대행은 “확진 환자가 나온 병원 명단의 정보를 모두 공개한다”며 “명단 공개는 국민안전 확보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최 직무대행은 “대통령께서도 지난 6월 3일 메르스 대응 민관합동 긴급점검회의에서 환자가 발생한 의료기관을 투명하게 알려줘야 한다고 지시했다”며 “신고폭증에 대비해 신고체계 구축 및 격리 병상 추가 확보 등 사전준비를 마치고 공개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또 확진환자의 이동경로를 정부가 정확히 파악하고 있으며, 유언비어에 현혹되지 말라는 말도 거듭 강조했다.
그러나 이날 정부 발표는 심각한 자기모순을 드러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불과 3일 전 박원순 서울시장이 메르스 정보를 공개했을 때 누구보다 강하게 비난한 곳이 정부였기 때문이다.
청와대가 거짓해명을 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한겨레는 8일 병원 명단 공개가 박 대통령 지시로 이뤄졌다는 청와대 해명은 사실과 다르다고 보도했다. 박 대통령이 지난 3일 회의 당시 병원 공개 지시를 한 바 없고, 회의 이후 현정택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도 “환자들을 격리수용하고 있는 병원을 공개하느냐 마느냐는 (핵심) 포인트가 아니다”라며 병원 정보 비공개 방침을 밝혔다는 것이다.
특히 청와대는 지난 5일 “(박원순 시장의 메르스 기자회견에) 불안감과 혼란이 커지는 상황을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밝히는 등 박 시장의 기자회견에 불편한 심기를 노출했다.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삼성서울병원 의사가 1500여 명과 접촉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정확한 사실이 확인돼야 한다“고 반박했다.
박 대통령도 정치적 공세에 나섰다. 박 대통령은 같은 날 오후 국가지정 격리병상인 국립중앙의료원을 방문해 “지자체가 독자적으로 해결하려고 하면 혼란을 초래한다”며 박 시장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메르스 대책 논의를 위해 당·정·청 협의를 하자는 여당 지도부의 제안도 거절했다.
그랬던 정부가 돌연 입장을 바꿨다. 불과 3일 만이다. 병원명 공개, 메르스 환자 확진 권한 등 박 시장의 요구사항도 이날 최 직무대행의 발표로 대부분 실현됐다. 메르스 정보 공개를 둘러싼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갈등 사태가 봉합 국면에 접어든 것이다. 합의의 발판은 박 시장이 마련했다.
이를 두고 네티즌들은 “국민이 불안해하는 것은 박원순 탓이 아니고 박근혜와 그의 당국 때문이라는 걸 모르나?”라고 지적했다. 한 네티즌(@shif***)은 “박 시장은 준전시상황이라고 표현하면서 메르스랑 싸우는데 박근혜는 박원순과 싸우기 바빠 보인다”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네티즌(@blue***)은 “근데 박 시장 발표는 사회 혼란이라고 이야기 하셨을까요?”라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는 8일 메르스 병원명단이 뒤늦게 발표된 것에 대해 “아쉽지만 사태 해결을 위해 역량을 모아야 할 때”라는 입장을 밝혔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박 대통령은 지난 3일 민관합동 긴급점검회의를 통해 메르스와 관련된 정보를 가급적 모두 공개해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하라는 취지의 지시를 한 바 있다”며 “어제(7일) 발표도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