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떠넘기다 직접 구매 ‘부지기수’…수십명 회사 관둬
대리점에 제품을 강매시키는 이른바 ‘밀어내기’ 의혹으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는 남양유업의 영업사원 수십 명이 인사문화 폐단으로 회사를 그만둔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일보>는 5일 “남양유업 내부의 고질적 인사문화가 ‘대리점 강매 사태’를 자초했다는 증언이 나왔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복수의 전직 남양유업 영업사원들은 <국민>에 “갓 들어온 영업사원들이 제대로 교육도 받지 못한 상태에서 매일 10여개의 대리점 영업 관리를 하다 보니 밀어내기(대리점 강매)를 할 수밖에 없다”며 “목표관리에서 실패하면 인사고과 불이익은 물론, 이를 빌미로 인사팀의 눈밖에라도 나면 승진은 꿈도 못 꾼다”고 말했다.
한 영업사원은 “대리점에 ‘떠먹는 불가리스’ 제품이 쌓여 사비로 수 십 만원 어치를 사기도 했다”며 “억지로 산 제품들은 PC방이나 사우나를 돌며 팔다가 못 팔면 친척이나 친구들한테 나눠주곤 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렇게라도 실적을 달성하면 괜찮지만 결과가 안 좋으면 인사팀에 찍히기 일쑤다. 결국 실적 압박 때문에 회사를 그만두는 지경에 이른다”고 비판했다.
같은 처지의 또 다른 영업사원도 <국민>과의 전화통화에서 남양유업의 내부감사시스템에 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영업부서 등 모든 부서에 대한 감사기능은 있는데 반해 인사·총무부서에 대한 감사기능은 없다는 것이다.
이 영업사원은 “총무·물류 등 다수의 거래업체들로부터 리베이트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부서지만 감사대상에서는 원천적으로 배제돼 있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남양유업 관계자는 ‘go발뉴스’에 “사실 확인이 안 되고 있다. 담당 기자와 통화가 되지 않고 있어 사측 입장으로 할 말이 없다”고 밝혔다.
피해자협의회 측과의 대화 계획을 묻자 “(협의회 측이) 우리의 대화를 거부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남양유업 피해자 협의회는 ‘go발뉴스’에 “우리가 1차적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이 사측의 불법행위 근절 대책과 공개사과다”며 “먼저 (공개사과 등)하지 않는 이상 협상테이블에 앉을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협의회 측은 “현재 남양유업의 70%이상의 지점이 협의회에 가입한 상태”라며 “앞으로도 본사 앞에서 집회를 지속적으로 열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27일, 피해자 협의회는 남양유업 제주지점 앞에서 불법착취 규탄집회를 가졌다. 이들은 “경제 정의에 역행하는 불법적 착취를 사죄하라”며 피켓시위를 벌이고, 일방적 계약해지를 당했다고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