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에 따르면 김 대표는 12일 울산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이후 취재진과 만나 홍 지사가 전면 무상 급식을 선별 방식으로 전환하고 남은 재원을 저소득층 교육비 지원에 쓰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높이 평가를 받아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무상급식 광풍이 몰아칠 때 당시 울산은 유일하게 무상급식을 따라가지 않았다”며 “당시 박맹우 울산 시장이 중심을 잡고, 덕분에 울산의 시재정과 교육청 재정이 다른 곳의 재정에 비해 더 여유가 있었다”고 밝혔다.
무상급식이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무상급식 재원은 국비 지원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무상급식 제도 변경)은 도지사의 재량적 문제”라며 선을 그었다.
김 대표는 홍 지사가 불 지핀 ‘선별적 복지로의 전환’을 꾸준히 강조해왔다. 지난달 9일 프레스센터 서울외신기자클럽에서 열린 외신기자회견에서 김 대표는 “복지 재원 마련에 있어 부조리나 중복 부분이 없는지 점검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불필요한 복지정책 조정을 주문했었다.
한편, 야당은 홍 지사의 결정에 “정치적 입지를 노린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거세게 반발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춘진 의원은 성명을 내고 “정치적 야욕에 눈멀어 학생들을 볼모로 무상급식을 전면중단한 홍 지사에 대해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이번 조례안이 통과되면 643억 원 규모의 무상급식 예산이 전용됨에 따라 무려 22만명의 학생에게 제공되는 무상급식이 중단될 위기에 처한다”고 강조했다.
같은당 이목희 의원도 “무상급식과 무상보육은 국민적 합의를 통해 이뤄진 것들”이라며 “국민적 합의를 일개 도지사가 자신의 소신과 다르다며 마음대로(중단해서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오는 18일 홍 지사와 만나 무상급식 관련 논의를 하기로 했다. 문 대표는 전날인 11일 “홍 지사와 만나 가능하다면 경남도와 도교육청 사이를 중재해서라도 무상급식을 계속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 찾아 보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