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케이 서울지사 “예상 했지만 처음 있는 일.. 일단 수용하는 분위기”
일본 <산케이신문>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정부가 외신기자들에게 발급하는 ‘외신기자증’을 <산케이> 특파원들에게 6개월째 발급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의 세월호 당일 행적을 보도한 <산케이>에 대해 정부가 보복을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에 부임한 후지모토 긴야씨는 같은 달 18일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산하 외신지원센터에 외신기자증 발급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급을 받지 못한 상태다.
<산케이신문> 서울지사 관계자는 ‘go발뉴스’와의 통화에서 “예상은 했지만 이런 일은 처음”이라며 “해당 담당자도 ‘위에서 최종 결정이 내려진 게 없다’는 답변만 되풀이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기자증 발급이 보통 한 달, 길어도 한 달 전후였는데 이번만 예외적으로 발급이 지연되고 있다. 현재 <산케이신문>도 이 같은 상황을 일단 수용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외신기자증은 본사가 외국에 있어 조직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신기자들에게 취재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발급하는 일종의 사원증이다. 한국정부에 등록된 기자임을 입증하는 최소한의 신원 인증인 셈이다. 기자증은 각 정부 기관을 취재 시 필요하며 특히 청와대를 출입할 때는 반드시 제시해야 한다.
정부가 외신기자들에게 기자증 발급을 지연하거나 거절하는 사례는 흔치 않다. 지난해 중국정부는 시진핑 정부에 대한 불리한 내용을 보도했다는 이유로 뉴욕타임스, 블룸버그 등 외신기자 20여 명에 대해 비자와 외신기자증 발급을 거부했다. 이후 중국정부에 대한 국제적 비난이 높아지자, 시진핑 국가주석이 직접 외국 언론과의 갈등 봉합에 나섰다.
반면 우리 정부는 “기자증이 없다고 취재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라는 대수롭지 않는 반응이다. 정부 부처 출입을 하려면 별도의 절차를 밟아야 하므로, <산케이신문>이 기자증 미발급으로 입을 불이익은 없다는 얘기다.
그러나 한 외신기자는 “(박 대통령의 7시간 행적 보도로) 한국정부와 <산케이신문>이 상당히 불편한 관계에 놓인 건 이미 알려진 사실”이라며 “<산케이> 특파원 기자증 발급 지연은 청와대와의 불편한 관계를 의식한 해외문화홍보원의 눈치보기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외신기자도 “정부 부처 등을 취재할 때 반드시 외신기자증이 있어야 하는 건 아니지만 부처에 따라 기자증을 요구하는 곳도 있다”며 “가뜩이나 외신기자의 한국 정부기관 취재가 쉽지 않은 상황도 감안해야 한다”고 우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