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현직 공기업 임원 한정” vs 野 “MB정부 임원도 포함”
해외자원개발 진상 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출범한 지 3주가 지나도록 증인 채택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특위 여야 간사는 22일 국회에서 만나 기관보고 증인 채택을 시도했으나 의견 차를 좁히지 못했다. 여당은 증인 범위를 현직 자원 공기업 임원으로 한정하자고 주장하는 반면 야당 측은 이명박 정부 때의 임원도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여당 측 간사인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이명박 정부의 해외자원개발은 참여정부의 정책을 계승한 것”이라며 “야당은 참여정부 장관들의 잘못은 언급조차 없이 최경환 경제부총리 등에게만 정치공세를 한다”고 야당 측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야당 측 간사인 새정치민주연합 홍영표 의원은 “현직 사장들만으로는 필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없고, 당시의 정책집행자들을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며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에 대한 증인채택을 강조했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은 정부와 해당 공기업이 자료제출을 지연시키며 조사를 방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새정치연합 박완주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통계조작이 뻔히 들여다보이는 보고서 작성까지 도대체 믿을 수가 없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며 “해외자원개발 국정조사 무력화 시도, 당장 그만둬야 한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단군 이래 최대 국부유출 사건이라고 일컬어지는 말도 안 되는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현실에서 도대체 당시 어떤 일이 벌어졌던 것인지 확실히 알기 위해 국정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며 “이유 없이 자료제출을 지연시키고, 정부의 입맛에 걸맞게 보고서를 통계조작, 왜곡이라는 엄청난 일까지 해가며 시간을 벌고 있는 박근혜정부의 작금의 행태에 대해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여야가 어렵게 합의한 해외자원개발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에 꼼수가 아닌 진정 국민을 위하는 마음으로 적극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