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 “2‧3공장 동일한 규모 피해 더 있을 것”
삼성SDI 울산공장 백혈병 피해자들이 백혈병 피해자에 대한 정확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며 삼성측의 공개사과와 함께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21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삼성전자 백혈병에 이어 삼성SDI 울산공장에서도 각종 유기용제 사용으로 백혈병을 비롯한 각종 암 발병노동자들이 생겨나고 있다”며 이같이 촉구했다.
기자회견에는 삼성SDI 울산공장 직업성 암 피해자 여병운씨와 고 박진혁씨 유족을 비롯해 삼성일반노조, 반올림, 울산지역노동자건강권대책위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울산지역노동자건강권대책위측에 따르면, 여병운 씨는 칼라브라운관사업부(1988~2006년)와 PDP사업부(2006~현재)에서 23년째 근무 중이다. 그는 지난해 급성골수성백혈병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고 있다.
2004년 삼성SDI 울산공장 사내업체에 입사해 브라운관 마스크 세척작업 등을 담당해 온 박진혁(당시 28세)씨는 2005년 11월, 급성림프구성백혈병으로 사망했다.
이 3명 외에도 직접 산재신청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현재까지 현장제보를 통해 삼성SDI 울산공장에서 암으로 투병중이거나 사망한 노동자가 15명이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대책위 측은 밝혔다.
이는 백혈병․폐암․간암․림프종․직장암․전립선암․위암 등으로 2013년 노동부가 산재인정기준을 개선해 올 상반기부터 적용하기로 한 직업성 암에 대부분 해당되는 암들이다.
이와 관련해 서쌍용 울산산재추방운동연합 상담실장은 21일 ‘go발뉴스’에 (여병운 씨 등 직업성 암 발병은)칼라브라운관 1공장에서만 발생한 일”이라면서 “2공장 3공장까지 확대 하면 동일한 규모의 피해가 더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 실장은 “희귀병을 앓고 있는 피해자들이 치료과정에서 경제적인 문제에 크게 부딪히고 있다”면서 “삼성이 진상규명에 협조해야 할 뿐 아니라, 경제적인 보상 등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자회견을 마친 후 여병운 씨와 고 박진혁 씨 유가족은 근로복지공단 울산지사에 암 피해자에 대한 산재요양 신청과 사망자에 대한 유족급여 장의비 청구서를 접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