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대강 사업 조사 평가위원회를 통해 누수가 확인된 6개보를 집중 조사해 보강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8일 정부는 추경호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세종청사에서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열고 4대강 사업 조사평가위원회가 제안한 개선 과제를 이달부터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먼저 정부는 누수 현상이 발견된 4대강 6개 보(구미·달성·합천창녕·창녕함안·공주·백제)에 대한 상세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뉴시스> 등에 따르면, 정부는 2월부터 6개 보에 대한 전문기관의 상세 조사를 시작해 보강 대책을 마련하되 긴급 보수·보강이 필요한 부분은 6월까지 조치를 마치기로 했다.
준설토 재퇴적, 바닥보호공 세굴 발생 여부는 정밀 하천측량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점이 발견되면 보강 대책을 추진키로 했고, 둑 높임 농업용 저수지 110곳에 대해서는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제방 경사면 침식 등에 대한 보수·보강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수질과 녹조 개선을 위해 댐-보-저수지 연계 운영 실태를 상반기 중 평가·개선해 녹조 발생 시 방류 등 필요한 조치가 신속히 이행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4대강 수변 친수공간 357곳은 수변 공간 규모 조정, 자연 복원 등을 포함한 개선 방안을 6월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해당 공간은 획일적으로 조성됐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한편 지난달 ‘4대강 사업 조사평가위원회’가 4대강 사업이 일정부분에 있어서는 성과를 거뒀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 환경시민단체 등이 ‘외눈박이 보고서’라며 비판 목소리를 높인 바 있어 정부의 대책 실현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