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이코노미스트 “잡음 많은 민주주의 국가에 독재 성향 재출몰”

“韓 국민, 더 심한 모독 자국 민주주의에 가해졌다 여길 것”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오전(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 클레리치궁에서 열린 한-이탈리아 경제협력포럼에 참석하고 있다. ⓒ '청와대'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오전(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 클레리치궁에서 열린 한-이탈리아 경제협력포럼에 참석하고 있다. ⓒ '청와대'
“명예훼손법이 정부의 도구가 되고 있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세월호 사고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사라진 7시간’ 의혹을 제기한 <산케이신문>의 가토 다쓰야 전 서울 지국장을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한 한국 정부에 대해 집중 조명했다.

18일 <이코노미스트>는 ‘잡음 많은 민주주의 국가에 독재 성향 재출몰’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가토 전 지국장의 기소 사건을 상세히 전했다.

신문은 “1993년 이래로 일본의 언론인이 한국에서 조사를 받은 일은 없었다”며 “이 사건은 긴장된 양국관계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오창익 시민인권연대 사무처장의 “<산케이신문>에게 동정심을 느끼는 한국인은 거의 없고, 바로 그것이 정확히 가토 지국장이 ‘완전한 희생양’이 되는 이유”라는 발언을 전했다. 이어 “그는 그 기소는 (정부가) 한국의 국내언론을 위협하려는 시도라고 말한다”고 덧붙였다.

신문은 또 “소송이 길어짐에 따라 가토 지국장에 대한 가혹한 처우에 한국 언론은 말을 아끼며 스스로를 검열할지도 모른다”며 “사석에서 기자들은 일본에 관해 긍정적인 글을 쓰는 것은 현 상황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인정한다”고 보도했다. 가토 지국장에 대한 한국 검찰의 칼날이 한국 언론의 자기 검열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코노미스트 18일 기사 일부 캡쳐.ⓒ 이코노미스트
 ▶이코노미스트 18일 기사 일부 캡쳐.ⓒ 이코노미스트
<이코노미스트>는 조국 서울대 교수의 “지난달 박 대통령이 국가 지도자를 모욕하는 것이 ‘도를 넘었다’고 말했다. 검찰은 허위사실과 명예훼손에 대한 전담반을 설치했다. 이것은 박 대통령의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독재를 연상시키게 하는 우울한 일”이라는 말을 전하기도 했다.

조 교수는 “지난해 검열관들은 포르노와 도박을 이유로 8만 개 이상의 웹페이지를 삭제했거나 차단했지만, 종북 사이트들과 더불어 북한의 사이트들도 냉전시대의 유물인 국가보안법 아래에서 역시 차단되어 있다”며 “그 법(국가보안법)은 한 때 비판자들을 침묵시키기 위해 남용되었으며, 여전히 사람들을 괴롭히고 있다. 이제는 명예훼손법이 정부가 선택한 도구가 됐다”고 비난했다.

신문은 최근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른바 ‘사이버 망명’도 조명했다. “한국은 카카오톡 압수수색 여파로 독일에 기반을 두고 있는 텔레그램으로 사이버 망명을 하고 있다”며 “‘국경없는 기자회’는 한국의 인터넷 감시수준을 이집트와 태국과 비슷한 위치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프랑스 일간지인 <르몽드> 역시 한국의 언론 침해 자유를 우려하는 특별 기사를 게재했다.

<르몽드>는 “한국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그의 일가에 대한 비판이 점점 위험스러운 일이 되어가고 있다”며 “박 대통령이 자신에 대한 모욕이 도를 넘고 있다고 말한 뒤 수많은 한국인들이 가장 애용하던 카카오톡을 포기하고 좀 더 안전한 것으로 알려진 텔레그램 메신저로 몰려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이코노미스트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econ.st/1CAKOd7)

Authoritarian tendencies resurface in a raucous democracy

잡음 많은 민주주의 국가에 독재 성향 재출몰

NOT since 1993 had a Japanese journalist been investigated in South Korea. But this time it was not classified military intelligence that was allegedly divulged—but hearsay. On October 8th prosecutors charged Tatsuya Kato, until recently the Seoul bureau chief of the Sankei Shimbun, a Japanese right-wing daily, with defaming the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Mr Kato is currently banned from leaving the country.

1993년 이래로 일본의 언론인이 한국에서 조사를 받은 유례는 이제껏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기밀 군사정보를 누설했다는 혐의가 아니라 소문 때문이다. 지난 10월 8일 검찰은 최근까지 일본 보수 일간지인 산케이신문의 서울지국장이었던 가토 다쓰야를 한국 대통령 박근혜를 명예훼손한 혐의로 기소했다. 가토씨는 현재 출국금지를 당한 상태이다.

The source of the upset is an article which the Sankei published online on August 3rd. It speculated on the whereabouts of Ms Park on the day a ferry sank in April, claiming 304 lives. Many blame the deaths on a botched rescue operation. Rumours have spread that at the time Ms Park was out of contact for seven hours. Citing the Chosun Ilbo, South Korea’s biggest daily, that mentioned but rather ridiculed the gossip, as well as reports circulating among stockbroking houses, Mr Kato suggested she was rumoured to have vanished for a tryst with a divorced man. The president’s office staunchly denies this.

화근은 산케이가 8월 3일 인터넷판에 올린 기사이다. 이 기사는 지난 4월, 304명의 사망자를 내며 세월호가 침몰한 날의 박 대통령의 행적을 추정하고 있었다. 어설픈 구조작업 때문에 희생자가 났다고 많은 이들이 비난한다. 당시 7시간 동안 박 대통령이 연락두절 상태였다는 소문이 퍼졌다. 그 소문을 조롱하며 언급한 한국의 가장 큰 신문인 조선일보와 증권가에 나도는 소문을 인용하며 가토씨는 박 대통령이 이혼남과의 밀회를 위해 사라졌음을 암시했다. 청와대는 이를 단호하게 부정한다.

Some Japanese say the case has targeted Mr Kato because the Sankei is the standard-bearer of Japan’s irksome historical revisionism. It has for years campaigned to reverse an apology from Japan over the forcing of Korean women into wartime brothels. Dokdo Saranghoe, a South Korean civic group that defends islets claimed by Japan as South Korean territory, was one of three groups that lodged a complaint about the article on grounds of libel.

일부 일본인들은 산케이가 성가신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의 기수이기 때문에 가토씨가 표적이 되었다고 말한다. 산케이는 수년동안 한국여성들을 전시위안소에서 일하도록 강요한 것에 대한 일본의 사과를 뒤집으려 선전해왔다. 일본이 자국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작은 섬들을 한국의 영토로서 사수하는 한국의 시민단체 독도사랑회가 명예훼손을 이유로 그 기사에 대해 고발을 제기한 세 그룹중 하나였다.

The affair will do little to help strained bilateral relations. Few South Koreans have any sympathy for the Sankei, but that is precisely why Mr Kato is “the perfect scapegoat”, says Oh Chang-ik of Citizens’ Solidarity for Human Rights, a liberal lobby in South Korea. He says the case is an attempt to cow South Korea’s domestic press. Prosecutors have already searched the home of a reporter at NewsPro, a South Korean outlet that translates foreign news, including articles from the Sankei.

이 사건은 긴장된 양국관계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산케이에게 동정심을 느끼는 한국인은 거의 없고 바로 그것이 정확히 가토지국장이 “완벽한 희생양”이 되는 이유라고 한국의 진보단체인 시민인권연대 오창익씨는 말한다. 그는 그 기소는 한국의 국내언론을 위협하려는 시도라고 말한다. 검찰은 이미 산케이 기사를 비롯한 외신을 번역하는 한국 매체인 뉴스프로 기자의 집을 수색했다.

Defamation lawsuits have been used before by the country’s presidents, conservative and liberal. In 2011 a host on a South Korean podcast that lampooned the then president, Lee Myung-bak, was sentenced to a year in prison for spreading false rumours about him, alleging past involvement in stock fraud. In 2003, when he was president, the late Roh Moo-hyun filed a lawsuit against four South Korean dailies for linking him to dodgy property deals.

명예훼손 소송은 이전에도 보수쪽과 진보쪽 한국의 대통령들에 의해 사용된 적이 있다. 2011년, 당시 대통령인 이명박을 희화했던 한국의 팟캐스트 진행자가, 이명박의 과거 주식사기 개입을 주장하며 그에 대해 거짓 소문을 퍼트렸다는 이유로 1년형을 선고 받았다. 2003년에는 당시 대통령이었던 고 노무현이 자신을 의심스러운 부동산 거래에 관련시킨 이유로 4개의 한국일간지들에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To some, this is heavy-handed. South Korea enjoys a thriving civil society and competitive elections. Yet its libel law is strict. Truth is no defence against spending time in prison (punitive damages are unknown in the South Korean system). Instead, the public interest needs to be proved. Both the Sankei and Reporters without Borders, a Paris-based watchdog, say Mr Kato’s article met that standard.

일부 사람들에게 이것은 가혹하게 여겨진다. 한국은 번영하는 시민사회와 자유경쟁의 선거를 누리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명예훼손법은 엄격하다. 진실을 말하는 것은 징역형을 막아주지 못한다(징벌적 손해배상은 한국 체제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공공의 이익이 입증될 필요가 있다. 산케이와 파리에 본부를 둔 파수꾼, 국경없는 기자회 양쪽 다 가토씨의 기사는 그 기준에 적합하다고 말한다.

Last month Ms Park said insulting the leader had “crossed the line”. Prosecutors swiftly set up a team to monitor the web for falsehoods or defamations. For Cho Guk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is a depressing return to tendencies associated with the dictatorship of Ms Park’s late father, Park Chung-hee, a military strongman. Two crimes were notorious then: criticising the leader and spreading false rumours.

지난 달 박 대통령은 국가지도자를 모독하는 것이 “도를 넘었다”고 말했다. 검찰은 재빨리 허위사실이나 명예훼손 여부를 두고 인터넷을 감시하는 전담반을 설치했다. 서울대학교의 조국 교수는 이것이 박 대통령의 아버지인 군 출신 독재자 고 박정희의 독재를 연상케 하는 성향으로 돌아가는 우울한 일이라고 말한다. 당시에 두 범죄행위가 악명이 높았는데, 그것은 국가지도자를 비판하는 것과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것이었다.

The crackdown on rumours has prompted some 1m South Koreans to ditch local chat apps within a week—including KakaoTalk, the country’s biggest—for Telegram, an encrypted service based in Berlin. This week KakaoTalk said it would stop honouring warrants from prosecutors (who have denied they monitor private conversations). Reporters without Borders ranks the level of surveillance of South Korea’s internet as similar to that of Egypt and Thailand. Last year censors deleted or blocked over 80,000 web pages, for pornography or gambling, but North Korean sites, along with those of sympathisers of North Korea, are also blocked under the National Security Law, a cold-war legacy. That law was once abused to silence critics, and it continues to rankle. But now the defamation law has become the government’s tool of choice, says Mr Cho.

소문에 대한 엄중단속은 일주일 내에 한국인 백만명이 국내에서 가장 큰 카카오톡을 포함한 국내 채팅 앱을 버리고 베를린에 기반을 둔 암호화된 서비스인 텔레그램으로 옮기도록 만들었다. 이번 주 카카오톡은 검찰(검찰은 사적인 대화를 감시하는 것을 부인했다)의 영장에 더 이상 응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국경없는 기자회는 한국의 인터넷 감시수준을 이집트와 태국과 비슷한 위치에 놓고 있다. 지난해 검열관들은 포르노와 도박을 이유로 80,000개 이상의 웹페이지를 삭제했거나 차단했지만, 종북 사이트들과 더불어 북한의 사이트들도 냉전시대의 유물인 국가보안법 아래에서 역시 차단되어 있다. 그 법은 한 때 비판자들을 침묵시키기 위해 남용되었으며, 여전히 사람들을 괴롭히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명예훼손법이 정부가 선택한 도구가 됐다고 조 교수는 말한다.

Last year the UN’s envoy said many South Korean suits are filed to punish statements that are true or in the public interest. As the Sankei case rumbles on, South Korean media with reservations about Mr Kato’s harsh treatment may censor themselves. In private, journalists admit that writing anything positive about Japan is almost impossible in the current climate.
President Park says that by insulting her, the likes of Mr Kato insult her nation. Her nation might wonder whether the greater insult was to its hard-won democracy.

지난해 유엔 특사는 한국의 많은 소송들이, 진실을 말하거나 공공의 이익에 관계된 발언들을 처벌하기 위해 접수되고 있다고 말했다. 산케이 소송이 질질 끌어짐에 따라 가토 씨에 대한 가혹한 처우에 대해 한국 언론이 말을 아끼며 스스로를 검열할지도 모른다. 사석에서 기자들은 일본에 관해 긍정적인 글을 쓰는 것은 현 상황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인정한다. 박 대통령은 가토씨 같은 이들이 자신을 모독함으로써 국민을 모독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녀의 국민은 더 심한 모독이 어렵게 얻어낸 이 나라의 민주주의에 가해졌다고 여길지도 모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