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미국 정보기관이 각국 주요기관을 도청한 사실이 알려지자 국가정보원은 우리 주요 정부기관에 보안 대책 강화 지침을 내린 바 있다. 그러나 아직도 정부기관 대다수가 도청에 무방비 상태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KBS>는 서울 광화문의 한 정부기관을 찾아 사무실에 유사 도청 장치를 설치한 뒤 50미터 떨어진 주차장에서 수신했다.
취재 결과, 사무실에서 대화를 나누는 두 사람의 이야기가 깨끗하게 들리고 심지어는 영상까지 전송됐다.
이에 대해 한 전파 시스템 전문가는 <KBS>에 “진짜 도청, 도촬기 같은 경우에는 100~200미터는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내부 상황이 외부로 중계되고 있지만, 내부에선 전혀 감지하지 못했다. 해당 부처가 가진 도청 방지 장치라고는 도청기 가까이에 대야만 반응하는 휴대용 감지기가 전부다.
이번에는 제대로 된 도청 방지 장치를 갖춘 또 다른 기관을 점검하자, 도청을 시도하는 순간 상황실에 경보가 울렸다.
이 서버에 전파가 감지되면 어느 사무실에서 도청이 이뤄지는지 분석이 시작된다.
<KBS>에 따르면, 문제는 이런 정밀 장비를 갖춘 곳은 37개 주요 정부 기관 가운데 5곳에 불과했다. 30곳은 1년에 1번만 국정원의 점검을 받고 있고, 2곳은 아예 이런 점검도 받지 않았다.
첨단 도청기들은 수집한 정보를 계속 송출하지 않고, 저장해 놓았다가 특정 시간에 은밀하게 송출하기 때문에 일회성 점검으로는 탐지가 어렵다고 <KBS>는 덧붙였다.
한편,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것도 아니다. 소 잃고 니탓내탓 하며 외양간 고치는 돈도 아까워서 간만보다 집 날라간다”(lipp****), “북한에서 군사 기밀 빼내도 모르겠다”(hash****), “안보가 흔들리면 국가는 무너진다”(jfgn****), “또 다시 나라가 사라져야 제정신으로 돌아오려나”(slim****), “이러니 안전불감증이 안 생기겠나?”(sky_****), “이건 뭐죠? 하루 이틀도 아니고 구멍 투성”(s2j1****) 등의 비난 반응들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