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버린 개막식, 역대 최악?.. 진정한 감동은 스포츠다울 때”
이영애가 드라마 대장금을 통해서 아시아에 큰 인기를 누렸던 것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고 해서 스포츠 대축제인 아시안게임의 성화점화자로 선 것은 그곳에 모인 모든 스포츠 선수들에 대한 예의가 아닌 주최자의 오만이자, 경박함을 드러낸 것이었다. 아시안게임을 한류 홍보로 전락시킨 결정적인 장면이 된 성화점화식은 엉망이 된 개막식 최악의 화룡점정이었다.
한국에 스포츠 스타가 그렇게도 없었던 것일까? 아마추어 스포츠에는 김연아라는 불세출의 영웅이 있고, 프로스포츠에는 박지성, 박찬호 등은 그냥 쉽게 누구나 떠올릴 수 있는 이름이다. 설혹 그런 인물들이 없다고 하더라도 4년에 한 번 열리는 아시안 스포츠 제전이라면 한류스타가 설 자리는 아니었다. 그런데 이영애라니 눈으로 보고도 믿지 못할 장면이 연출된 것이었다. 어쩌면 외국 선수단의 생각에도 비슷한 의문이 남지 않았을까 모를 일이다.
또 그렇게 국민들이 공감할 수 없는 등장은 더 있었다. 바로 귀화 국회의원 이자스민이 국기를 들고 하형주, 이봉주, 장미란 등과 그라운드로 들어선 것이었다. 물론 단순하게만 보자면 귀화한 여성이 국회의원까지 된 것은 개인의 성공보다는 그것을 인정한 국가의 진보적 성향에 주목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그래서 문제인 것이다. 이자스민 의원이 국민의 공감을 얻고 있느냐에 대한 문제는 접어두더라도 순수한 스포츠 대회에 국기를 들고 등장하기에 적합했냐는 문제가 남는다. 너무 현재의 한국을 자랑하려는 의욕이 과했던 것은 아니었던지 점검해봐야 할 대목이었다.
사실 개막식을 잠식한 과도한 영상을 보면서, 예산이 없었거나 아니면 상상력이 너무 부족했다는 인상을 받았다. 그러나 개막식의 전반을 보자면 아무래도 후자에 의심이 짙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비류와 심청의 만남이라는 억지 스토리텔링은 참 답답할 따름이었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인천을 찾은 외국인 선수단이 비류도 모르고, 심청도 모른다는 사실이었다. 그러나 그들 눈에 개막식의 문화공연 전반이 과연 감동적이었는지는 의문일 수밖에는 없다.
무엇보다 이번 인천아시안게임 개막식은 스포츠를 버렸다는 점에서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이다. 진정으로 모든 사람은 감동시킬 다른 무엇이 아니었다면 스포츠대회답게 치렀어야 했다. 이래저래 이번 인천아시안게임 개막식은 역대 최악이라는 평가를 들어도 별 할 말이 없을 상황이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