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4대강 재자연화” vs 홍준표 “지리산 댐 건설”
이명박 정부의 4대강사업 폐해가 날로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광주시와 전라남도가 문제해결 방안으로 ‘4대강 재자연화’를 선언했다. 반면 새누리당 소속 지자체장들은 지리산 댐 등 대규모 토목공사를 주장해 광주전남과 경북의 4대강 재앙 대응 방식이 극명한 대비를 보이고 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낙연 전남지사 인수위원회는 지난달 30일 발간한 최종보고서에 ‘영산강 재자연화 추진’을 포함시켰다.
두 시도 인수위는 “영산강은 광주·전남의 젖줄이자 상징이지만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으로 ‘강의 흐르는 기능’을 상실했고 수질 악화와 생태계 파괴 등 피해가 발생했다”면서 “현 정부에서 4대강 사업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활동하고 있지만 가시적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재자연화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반면 홍준표 경남지사 등 새누리당 소속 자치단체장들은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의 수질이 식수원으로 쓸 수 없을 지경이 됐지만 지리산 댐 건설 등을 문제 해결로 제시해 대조를 이뤘다.
홍 지사는 1일 기자간담회에서 낙동강 녹조가 한 달 빨리 찾아오자 “요즘 또 녹조를 보와 연결시키는 사람들이 있는데, 보를 막아 유속이 5배 느려진 것이 녹조의 원인은 아니”라며 “녹조는 원인물질인 질소와 인이 함유된 축산폐수와 생활하수 등이 많이 유입됐기 때문”이라 강변했다.
그러면서 홍 지사는 “지리산 댐 등 댐을 많이 건립해 국민들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해야 한다”며 “창원과 김해, 양산, 함안 등 경남도민의 65%가 낙동강 표류수를 먹고 있는데, 도민들이 지리산 댐을 만들어 깨끗한 물을 먹을 자격이 없단 말인가”라고 지리산 댐 건설을 반대하는 환경단체 등을 비판했다.
이처럼 여야 지자체장들의 엇갈린 4대강 문제해결 방안 제시에 네티즌들은 “돈 들여 파괴하고 돈 들여 복원. 어처구니없는 일이지만 그래도 복원해야죠”(@arc****), “광주·전남 지자체가 먼저 나서는군. 진중하고 성실하게 추진, 실행해서 좋은 결실 맺길”(@tto****), “강을 흐르게 해야 하지만 또 다시 토건족 배 채우게 해선 안 된다”(@css****), “광주·전남은 영산강을 재자연화 하자고 하고, 경남지사 홍준표는 썩어가는 낙동강 나둔 채 지리산에 댐건설 하자고 한다. 경남은 녹조탕 더 마셔야할 듯”(@cho****)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