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합의대로 26일부터” vs 野 “7월 초 해경·해수부 먼저”
세월호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23일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었으나 여야는 기관보고 일정에 대한 공방만 이어가다 별다른 소득 없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파행을 빚었다. 반복되는 불발로 여야 모두 세월호 참사를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앞서 여야 간사 간에 합의한 대로 오는 26일부터 기관보고를 시작하자는 반면, 야당은 유가족들의 요청에 따라 7월 초부터 진행해야 한다고 맞섰다.
여야는 지난 20일 국회에서 간사들 간의 회동을 갖고 오는 26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기관보고를 받기로 합의한 바 있다. 하지만 실종자 가족들이 이같은 결정에 강하게 반발을 보이며 반나절만에 합의가 백지화됐다.
새누리당 국조특위 간사인 조원진 의원은 “26일부터 수색과 관련된 기관을 빼고 보고를 시작하고 유가족이 원하는 날짜인 1일과 2일에 해경·해군·해수부 등에 대한 보고를 받으면 된다”며 “국정조사가 국민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조사인데 수색과 관련되지 않는 기관까지 뒤로 미루자는 것은 명분이 없다”고 말했다.
같은 당 권성동 의원도 “해경과 해수부에 대한 기관보고를 꼭 먼저 받고 절차를 진행할 필요는 없다”며 “보건복지부·안전행정부 등을 상대로 먼저 기관보고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김현미 새정치민주연합 국조특위 간사는 “26일로 기관보고 일정을 합의하긴 했지만 유가족들의 뜻을 살펴봐야 하는데 1차 수색이 종료 시점인 30일 이전에는 기관보고를 반대하고 있다”며 “해경과 해수부부터 점검하지 않으면 다른 기관보고가 공허할 수 있기에 기관보고는 두 곳부터 출발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맞섰다.
같은 당 최민희 의원도 “가족들 입장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합의과정”이라며 “여당은 야당을 압박하는 게 아니라 가족 대표들의 입장을 충분히 수렴하려는 정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1시간 30여분 동안 서로 니탓 네탓 공방을 벌인 국조특위는 기관 보고 일정 논의를 여야 간사 간 협의로 남겨두고 정회했다.
